[프로그래머스] 덧칠하기 - 파이썬

Donghyun·2024년 7월 17일
0

Code Kata - 파이썬

목록 보기
18/54
post-thumbnail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1989

문제 설명

어느 학교에 페인트가 칠해진 길이가 n미터인 벽이 있습니다. 벽에 동아리 · 학회 홍보나 회사 채용 공고 포스터 등을 게시하기 위해 테이프로 붙였다가 철거할 때 떼는 일이 많고 그 과정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곤 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벽이 보기 흉해져 학교는 벽에 페인트를 덧칠하기로 했습니다.

넓은 벽 전체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대신, 구역을 나누어 일부만 페인트를 새로 칠 함으로써 예산을 아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 n개로 나누고, 각 구역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을 정했습니다.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 m미터이고, 롤러로 벽에 페인트를 한 번 칠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롤러가 벽에서 벗어나면 안 됩니다.
  • 구역의 일부분만 포함되도록 칠하면 안 됩니다.

즉, 롤러의 좌우측 끝을 구역의 경계선 혹은 벽의 좌우측 끝부분에 맞춘 후 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벽을 칠합니다. 현재 페인트를 칠하는 구역들을 완전히 칠한 후 벽에서 롤러를 떼며, 이를 벽을 한 번 칠했다고 정의합니다.

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고 다시 칠해야 할 구역이 아닌 곳에 페인트를 칠해도 되지만 다시 칠하기로 정한 구역은 적어도 한 번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예산을 아끼기 위해 다시 칠할 구역을 정했듯 마찬가지로 롤러로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정수 nm과 다시 페인트를 칠하기로 정한 구역들의 번호가 담긴 정수 배열 sec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러로 페인트칠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1 ≤ m ≤ n ≤ 100,000
  • 1 ≤ section의 길이 ≤ n
    • 1 ≤ section의 원소 ≤ n
    • section의 원소는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하는 구역의 번호입니다.
    • section에서 같은 원소가 두 번 이상 나타나지 않습니다.
    • section의 원소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nmsectionresult
84[2, 3, 6]2
54[1, 3]1
41[1, 2, 3, 4]4

문제풀이

문제 이해하기:

  • 페인트가 벗겨진 벽을 다시 칠해야 하는데 예산을 아껴야 한다.(최소한의 페인트칠)
    •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 n 개로 나누고, 왼쪽부터 1 ~ n 까지의 번호를 부여.
    • 페인트 칠을 할 롤러의 길이는 m 미터
    •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의 번호 section 리스트가 주어짐

내 풀이:

  • 칠해야 할 가장 첫번째 타일과 마지막 타일을 포함해서 그 사이에 있는 총 타일의 수: total_tiles
  • total_tiles 를 m 으로 나눴을 때 (몫과 나머지에 동시 접근을 위해 divmod 함수 사용):
    - 소수점 이하의 값이 있으면 몫 + 1 을 반환하고
    - 없다면 몫을 반환하면 되지 않을까?

    ex) n = 8, m = 4, section = [2, 3, 6] 일 때

    • total_tiles = 5
    • divmod(total_tiles / m) = 1.25 → 나눠떨어지지 않고 나머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몫 + 1 을 반환하면 결과는: 2 번

첫 번째 풀이 코드:

def solution(n, m, section):
    total_tiles = max(section) - min(section) + 1
    quotient, remainder = divmod(total_tiles, m)
    
    if remainder > 0:
        return quotient + 1
    else:
        return quotient

결과: 하지만 이렇게 해서 채점을 해봤을 때의 결과는 54 / 100 으로 반 정도의 케이스에 대해서만 맞췄다. 내 풀이에서 어떤 부분이 잘못됐을까?

  • 내가 한 풀이는 문제의 주어진 조건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페인트 칠을 해야 할 구역이 연속적인 구역이 아닐 수도 있다는 조건을 반영하지 못했다.
  • 예를 들어 n = 7, m = 1, section = [1, 7] 일 때 내가 한 풀이로는 소수점 이하의 값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몫을 반환해서 정답인 2번이 아니라 7번이 나와 오답이 된다.
  • 따라서, 각 페인트칠이 시작되는 구역을 기준으로 롤러의 길이만큼 커버하고, 다음 페인트칠이 필요한 구역을 찾아 반복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두 번째 풀이:

  • 현재 롤러로 커버한 마지막 구역 current_end(0부터 시작)
  • section 의 각 요소 start 에 대해 for 문을 돌건데 만약 start 가 current_end 보다 크다면:
    - 페인트 칠을 하고 → count += 1
    - current_end 를 start + m - 1 로 업데이트 하는데, 롤러가 벽의 끝을 넘지 않도록 curren_end 와 n 중에 더 작은 값으로 업데이트.

    ex) n = 8, m = 4, section = [2, 3, 6] 일 때

    • 처음 칠해야 할 section 의 구역 → start = 2
    • 2 > 0(룰러로 커버한 마지막 구역) 이니까
      • count += 1
      • current_end = 2 + 4(m) - 1 → 5 와 8(n) 중에 5가 더 작으니 5로 업데이트
    • 다음 칠해야 할 구역 → start = 3
    • 3 > 5 성립하지 않으니 pass
    • 다음 칠해야 할 구역 → start = 6
    • 6 > 5 이니까
      • count += 1
      • current_end = 6 + 4 -1 → 9 와 8 중에 8이 더 작으니까 8로 업데이트 하고 for 문 종료
    • 최종 결과: 2 번

최종코드

def solution(n, m, section):
    count = 0  # 페인트칠 횟수
    current_end = 0  # 현재 롤러로 커버할 수 있는 마지막 구역

    for start in section:
        if start > current_end:  # 현재 구역이 롤러로 커버되지 않으면
            count += 1  # 새로운 페인트칠 시작
            current_end = min(start + m - 1, n)  # 롤러의 끝 위치를 벽의 끝을 넘지 않도록 갱신

    return count
profile
데이터분석 공부 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