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 챌린지(1주차_프로그래밍 첫걸음 시작하기 : 프로그래밍 기초)

EITA_0731·2022년 2월 10일
0
post-thumbnail

수강하게 된 이유

프로그래밍 기초를 배우는 건 아니였고 "메가바이트 스쿨-핀테크 서비스 백엔드 개발자 취업 완성"수강의 프리 코스로 수료시 가산점이 있다고 해서 수강하게 되었고, 기초도 다시 복기할 겸 빠르게 수강할 계획이다.

1주차

1주차 강의는 강의 진행방식과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 전 개요의 내용이 대부분으로 가볍게 들었고 그 중에 "개발자와 대화하기" 부분에서 익숙치 않은 키워드 중심으로 따로 정리를 해봤다. 기술 면접 등 개념을 익히는 정도로 보면 좋을꺼 같다.

(1) 퍼블리셔 : 정해진 일정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정보나 콘텐츠를 수집하고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시각화를 위한 가벼운 코딩정도)

(2) 브라우저의 호환성

  • 웹 표준 : 어떤 브라우저를 쓰든 표준화에 맞춰서 제작(크롬,사파리 등)
    ※인터넷 익스플로러 : 유일하게 웹 표준을 지키지 않는 존재
  • 호환성 :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던 동일하게 보여지게 하는 것

(3) Native, WebApp

  • Native : 각 모바일 OS에 따라 맞춰서 개발(둘다 돌아가는 것도 있음:플러터)/해당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음,개발자를 따로 둬야함, 업데이트에 대한 불편(검토 및 심사시간발생)
  • WebApp : 앱 안에 웹사이트 형태로 올라가게 개발/바로 변경이 가능하다. 성능의 제약은 있음

(5) 적응형, 반응형
크기에 따라 PC용/모바일용 따로 보여지는 사이트 → 적응형 웹
페이지를 하나만 만들어서 페이지 크기에따라 변화하는 사이트 → 반응형 웹

(6) 쿠키, 세션, 캐시

  • 쿠키 : 특정 정보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하게끔 하는 것/내가 직접 끌고 다니는 카트 개념/수정,삭제 가능
  • 세션 : 서버에 저장하게끔 하는 것/마트측에서 보유한 나의 정보/보안상의 정보
  • 캐시 : 용량이 큰 파일의 경우 재 접속했을 때 따로 보관하는 것(재사용)

(7) 프레임워크 : 특정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키트, 서버 프로그램 틀(뼈대)을 만들어놔서 손쉽게 쓸수 있게 하는것

(8) 호스팅, AWS, 클라우드

  • 호스팅 : 기업의 대용량 메모리 공간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홈페이지나 웹 서버 기능을 대행하는 서비스
  • AWS : 인프라를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것

1주차 수강 후기

뒤늦게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기 위해 투자하는 만큼 기본기부터 제대로 다져서 내 것으로 만들자라는 생각을 가지고 수강하였다. 이후 웹페이지 만드는 강의 부터는 좀 더 깊게 파보는 노력을 하기 위해 마음을 다 잡아야겠다.

profile
기술 스택 : Javascript/Java/Spring Framework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