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함수()
객체의 뒤에서 함수가 실행될 때 this => 객체를 가리킴
예1)
라인13에서 this는 ken임 => 35
예2)
라인17에서 this ken => 36
라인18에서 this wan => 32
예3)
my thought
sevenEleven.sellbear(ken)을 넣었으니
셀비어에 ken을 넣어서 실행하는데
켄 안에 verifyAge 함수를 실행하는 부분을 보면 => 일반함수?
그래서 100 => so Beer!
나는 함수 실행부분만!(this 가 들어간) 보면 일반함수니꽈 100으로 생각함
🎉 맞음
예4)
my thought
마찬가지로 line 14에서 this가 들어간 verifyAge()가 실행되는 부분만 보면
customer.verifyAge()니까 this => customer => 20 so 노비어!
🎉🎉 코렉트!!
예5)
my thought
라인16에서 함수 logAge()가 실행하는데, employees.list[0]의 값은 people
people => person1이니고 그 안의 값은 20
🎉🎉🎉 예쓰
예6)
mythought
엌 라인13에서 ken.verifyAge()가 dot notation인 것 같지만
verifyAge가 화살표 함수(함정)
window에는 age가 없으니 undefined 당하는 거 아닐까..?
어쨌든 else니까 no beer
🎉🎉🎉🎉맞음
6.3 dot notation 32:00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