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 학습내용 정리 (IP, PORT, URL, HTML Living Standard, HTML Grouping Content)

송명석·2022년 3월 29일
0
  1. URL, IP, PORT 정리

URL - 웹상에서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자원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웹페이지를 찾기 위한 주소

IP -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각 장치들의 고유번호.

각각의 장치들은 IP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IP 주소 형식은 외우거나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DNS를 통해구별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로 변환된다.

PORT - 소프트웨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 한다. 포트 번호는 IP주소와 함께 쓰여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다.

  1. HTML Living Standard란?

HTML Living Standard란 W3C와 WHATWG의 각자 달랐던 표준을 하나로 합쳐 만든 표준 문서이다. 2019년 W3C와 WHATWG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WHATWG의 Living Standard를 HTML과 DOM 명세 표준으로 삼기로 했다.

  1. HTML Grouping Content

ol,ul,li
ol : 순서가 있는 목록 (ex. 1.HTML 2.CSS)
ul : 순서가 없는 목록 (ex. •JS •React)
li : ol,ul의 요소안에서만 사용되며 각 항목을 나열하는 태그

dl,dt,dd
dl,dt,dd도 목록을 정의할때 사용
주로 사전처럼 어떤것을 정의할때 사용

div
레이아웃을 나눌때 사용하는 태그
article, section, header, nav 등 semantic tag 를 사용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나 태그를 특정잡아 나누기 애매할때 사용 div, span 최후의 수단으로 최대한 사용 하지 않는게 좋다

figure,figcapture
이미지와 캡션이 연결되도록 figure태그를 사용
figcapture는 이미지 밑에 설명을 달때 주로 사용

p
단락을 표시하는 태그
줄바꿈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pre
HTML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 화면에 표현해주는 태그
p 태그로 묶을경우 코드 의 들여쓰기가 표현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pre 태그를 사용하여 주로 코드를 표현

blockquote
인용블럭
q
인용구에 주로 사용

main
문서의 주요 컨테츠를 나타냅니다.메인요소 안에 들어가는 내용은 문서의 유일한 내용이어야 합니다. IE에서는 지원하지 않으며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요소임으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hr
이야기 혹은 문단안에서 주제를 분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닫는 태그가 없다.
단순히 가로줄을 표현하기 위함이라면 CSS 의 border-top ,border-bottom 을 사용하여 가로줄을 표현하는게 좋다

개구리 사진 출처-https://blog.daum.net/sa55jung/11223723
프론트엔드에 대해 공부중인 학생이 작성한 글 입니다
잘못된 내용 알려주시는 대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코린이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