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Elvia SY Choi·2025년 3월 25일
1
post-thumbnail

학습 -비기너 트랙

2.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1. 오늘 학습 키워드

오늘은 오즈코딩스쿨 학습-비기너 트랙 두 번째 시간으로 지난 시간 개발자 그게 뭔데? 학습에 이어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오늘 학습은 앞서 지난 시간에 개발자 그게 뭔데? 시간에서는 개발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해 컴퓨터와 소통하고 다양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전문가라고 배웠습니다. 그러나 좋은 개발자가 된다는 단순히 코딩에 익숙해지는 것만이 아닌 이전에 없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했을 때 좋은 개발자로 성장했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됐습니다.

2. 오늘 학습 한 내용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하게 되면, 가장 먼저 익숙해져야 할 것은 공식 문서입니다. 공식 문서는 특정 스택을 개발한 회사나 커뮤니티에서 직접 작성한 사용 설명서로, 그 기술에 대한 핵심 개념과 사용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1) 공식 문서

📘 React 공식 문서

React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 Django 공식 문서

Django 공식 사이트

🔍 JavaScript 학습 시 참고할 문서

  1. MDN Web Docs

  2. 모던 JavaScript 튜토리얼

  3. W3Schools - JavaScript

🐍 Python 학습 시 참고할 문서

  1. W3Schools - Python

  2. 파이썬 공식 자습서

2) 검색 (구글링)

그다음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스킬 중 하나는 검색 능력입니다. 개발자가 아닌 경우에도 코딩을 배울 땐 구글링은 필수라는 말 한 번쯤은 들어보신 적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이미 누군가 겪어왔던 문제들로 이미 해결된 경우가 많은데 검색을 통해 빠르게 해결 능력을 갖추는 것 역시 개발자의 중요한 능력입니다. 개발자는 이러한 과정을 흔히 "구글링"이라고 말합니다. 국내 포털 사이트보다는 구글에서 검색하는 것이 훨씬 더 정확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전 세계 영어 사용자가 많다 보니 영어로 자료를 검색하면 더 좋은 질과 양의 자료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영어가 어렵고 자신 없다면, 파파고구글 번역기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검색을 통해 문제가 해결됐다면, 웹상에 해결 과정을 기록해 두는 습관을 지니는 것이 본인과 다른 개발자들을 위한 좋은 문화 중 하나입니다.

3) ChatGPT 활용

ChatGPT가 2022년 11월에 공개되고 난 이후, ChatGPT는 프로그래밍 학습에 있어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존 개발자들은 구글링에 많이 의존했다면 이제는 좀 더 빠르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코드 예시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ChatGPT도 현업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의할 점으로 학습 중에 ChatGPT를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사용하는 것이 되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그 코드가 왜 그렇게 작성되었는지에 대한 비교와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코드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이 역시도 기록하고 정리해 두는 습관을 지니는 것이 좋습니다.

4) 커뮤니티 질의응답

그러나 공식 문서, 구글링, ChatGPT의 방법을 동원해도 문제 해결이 어려울 경우 다른 사람들에게 질문하는 것도 하나의 실력입니다. 앞으로 6개월간 초격차 부트캠프에서 학습을 하게 되면 동료, 멘토, 조교, 코치님들에게 자유롭게 모르는 부분을 질문할 수 있는 점도 부트캠프의 큰 장점입니다. 또한, 개발자들은 서로 모르는 부분에 있어 서로 돕고 배우는 문화가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개발하면서 어려운 부분이 발생한다면 전 세계 개발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표 커뮤니티 StackOverflow 을 활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StackOverflow에 질문을 올릴 때는 다음 4가지 요소를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1. 사용 중인 개발 환경
  2. 전체 관련 코드
  3. 발생한 문제 상황
  4. 기대하는 결과

이 네 가지 요소를 빼고 설명한다면, 오히려 부정적인 답을 들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명확한 질문을 하는 것은 답변자에 대한 예의와 배려로 좋은 질문을 남긴다면 좋은 답변도 얻을 수 있습니다.

✅ 마무리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그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스스로 찾아보고, 질문하고, 분석하고, 기록하는 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3. 학습을 한 후 느낀점

오늘 학습을 통해 개발 스택 공식 문서 페이지와 커뮤니티 사이트 StackOverflow를 즐겨찾기 해두었습니다. 구글 검색과 ChatGPT는 평소에도 자주 사용하는 편인데 앞으로 개발자로서 공부량이 늘어나게 되면 더 자주 사용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공식 문서의 경우 워낙 읽어야 할 자료가 많다 보니 앞으로 개발 공부를 하면서 개발 언어에 맞는 문서를 자주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번 워밍업 칼럼인 메타인지 내용을 학습하면서 강하게 느낀 점은 모르는 부분을 아는 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정확한 문제를 직면하지 않은 채 넘어가게 된다면 개발자로서의 성장은 멈춰버린 채 시간만 버리게 되어 버립니다.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해결할 때까지 충분히 고민과 자료를 찾아보고 주변에 도움을 청하거나 커뮤니티를 적극 활용하고 그 문제 해결 과정들을 기록하여 단단하고 좋은 개발자로 성장해야겠다는 다짐이 듭니다.

profile
console.log("한 줄 짰는데 왜 안 돼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