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키워드 중심인 이유는 검색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curl : 인터넷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어\-XGET : 명령어localhost:9200 : elasticsearch 주소classes : Index명(DB명)class
Index는 database이다.아래 명령어로 Index가 있는지 부터 확인 아래처럼 인덱스가 없다는 예외 메시지 발생이제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아래처럼 acknowledged가 true가 나오면 제대로 올라간 것이다. index가 비어있지만 제대로 생성되어 보인다.
\-d 뒤에 자세한 옵션을 적을 수 있다. (작은 따옴표를 닫기 전에는 엔터를 입력해도 된다.)아래의 경우 과목명을 알고리즘으로 교수를 존으로 넣겠다는 내용을 json형식(인터넷 요청 양식으로) 입력하는 것\-i: 응답 헤더 출력(옵션이 없으면 응답 본문만 출력)\-v
(\_update 명령어 사용)아래처럼 successful이 1 뜨면 성공 아래처럼 unit이 2로 업데이트 된 걸 확인 가능unit에 10을 더하는 수식 입력결과: 5가 더해져서 7로 업데이트된 것을 확인 가능
맵핑이란 데이터의 타입과 형식을 정해주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submit_date 부분을 보면 유형은 "date",format은 “yyyy-MM-dd”로 정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이렇게 정해주는 것이 바로 맵핑이다. 그렇다면 맵핑을 왜 할까? 바로 Ki
맵핑이란 데이터의 타입과 형식을 정해주는 것 입니다.이번 예제인 classesRating_mapping.json파일을 확인하면 mapping이 뭔지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어, submit_date 부분을 보면 유형은 "date",format은 “yyyy-MM-dd”로
예제 코드인 simple_basketball.json을 넣어보자.이 파일로 index를 만들어보자 등록된 index 조회 Point가 30인 값만 검색하기 아래처럼 points가 30인 값만 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쿼리문을 아래와 같이 전달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