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의존관계 주입이 끝난 이후에야 가능하다.그렇다면 개발자는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Spring Bean은 다음과같은 생명주기를 가진다.Spring 컨테이너 생성 $\\to$ Spring Bean
의존관계 주입 방법 객체 간의 관계, 즉 의존관계는 @Autowired를 통해 설정한다. 이러한 의존관계 주입의 방법은 네 가지가 있다. ❗️생성자 주입 : 생성자가 하나일 경우 생략 가능하다.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를 의존함과 동시에 Class(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에도 의존한다.마치 공연에
Clean code로 유명한 Robert Martin이 좋은 객체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했다.하나씩 알아보자.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한다."책임"은 상황에 따라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변경 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여러 독립적인 객체들의 결합과 협력으로 결과를 출력한다.OOP(Object-Oriented Programming)와 같은 말로, 명령어가 나열된 프로그램이 아닌 각각의 객체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도출한다.마치 바퀴
백엔드 개발자 혹은 백엔드 개발자를 꿈꾼다면 Spring은 누구나 들어봤다.그러면 Spring은 왜 등장했을까? 옛날에는 자바 기술인 EJB를 사용해 기업에서 application을 개발했다. 그러나 EJB는 너무나 복잡하고 무거워서 많은 개발자들의 격노를 일으켰다고
JPQL 소개JPQL의 기본 문법에 대해 파악한다.parameter binding 방법에 대해 파악한다.프로젝션에 대해 파악한다.페이징 기법에 대해 파악한다.FETCH JOIN에 대해 파악한다.벌크 연산에 대해 파악한다.지금까지 우리는 em.find() member.g
🔒문제 url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20 🔑코드 💕오류 지적 및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복제시 출처 남겨주세요!💕 💕좋아요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임의의 좌표 $(x,y)$에서 $d1,d2$에 의해 5번 선거구를 표기할 때, $N\\times N$의 영역 안에 온전히 그려져야함에 유의한다.BruteForce를 통해 모든 지점에 대해 5번 선거구에 속하는 구역을 표기한 뒤 선거구별 인구를 세어준다.알고리즘 진행은
임베디드 타입의 개념을 파악한다.임베디드 타입의 사용법을 파악한다.임베디드 타입의 특징을 파악한다.@AttributeOverride 의 용도를 파악한다.임베디드 타입의 한계와 대안을 파악한다.임베디드 타입 : 복합 값 타입이라고도 불리며, int String 등 여러
영속성(cascade) 전이에 대해 파악한다.고아 객체에 대해 파악한다.특정 엔티티를 영속화 할 때, 연관 엔티티도 함께 영속화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영속성을 전이하지 않으면 persist()를 세 번 호출해야하지만, 영속성 전이를 통해 persist(parent)만으
즉시 로딩에 대해 파악한다.지연 로딩에 대해 파악한다.프록시에 대해 모른다면 JPA 프록시를 보고오자.즉시 로딩 : 조회하는 엔티티가 참조하는 엔티티도 JOIN query를 사용해 함께 조회한다.실무에서 즉시 로딩은 쓸 일이 없다. 지연 로딩만 사용하자.JPQL에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