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 파이썬 32비트 가상환경 만들기

범모 ( bbeom dev) ·2023년 1월 6일
1

< 가상환경 만드는 이유 >

증권사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32비트 가상환경이 필요하다. ( 증권사 api 인증 및 프로그램이 32비트 환경에서만 만들어진듯? 찾아보니 64비트를 지원하는 api는 없었다.)
그러나 데이터분석에서 사용되는 파이썬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 사이킷런 등은 64비트에서 호환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데이터 수집 목적의 파이썬 32비트 가상환경을 만들었다.

ⓐ vscode python 32비트 가상환경 만들기

파이썬 다운로드 - https://www.python.org/downloads/windows/
파이썬 32비트 버전을 다운로드 해준다. 여기서 나는 최신 버전인 python 3.11.1 32-bit를 다운 받았었는데 pandas , numpy 등 pykiwoom 라이브러리 설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따라서 기존 로컬에 설치되어 있던 python 3.7.9 32-bit 버전을 사용했다.
또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는데 모두 본 포스터와 같은 순서로 가상환경을 만들 경우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1. pykiwoom : DLL load failed: %1은(는) 올바른 Win32 응용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2. QAxBase::setControl: requested control KHOPENAPI.KHOpenAPICtrl.1 could not be instantiated

python -32bit를 설치했으면 VSCode를 실행시켜서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변경해줘야 한다.
< VSCode 실행 후 Ctrl + Shift + p 를 누른 뒤 python:Select Interpreter를 입력 >

python 3.7.9버전의 32-bit를 선택해준다.

Ctrl + `를 눌러서 명령어 창을 열어준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python -m venv (원하는 가상환경 폴더명)
python -m venv testvenv을 입력해줬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폴더가 생긴다.

해당 폴더 안에서 pyvenv.cfg 파일을 실행시키면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주소가 나와있다.
해당 주소가 올바른지 확인해본다.

분명히 32-bit 인터프리터로 설정하고 가상환경을 만들었지만 home 주소가 64-bit로 설정되어 있다. ㅡㅡ ( 이것 때문에 오류가 계속 발생했었다. ) 해당 주소를 32-bit 파이썬 폴더로 설정해줬다.

그리고 저장한 후 다시 Ctrl + Shift + p를 누르고 인터프리터를 가상환경 인터프리터로 설정해준다.

그리고 터미널에서 +버튼을 눌러 새로운 터미널을 만들면 testvenv 가상환경의 터미널이 실행되었다.

python
import platform
print(platform.architecture())
을 차례대로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32bit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ykiwoom 이라는 키움증권 api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install 해본다.
pip install pykiwoom을 입력했다.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python 소스파일을 하나 생성해서 import가 되는지 확인해본다.

성공적으로 api 모듈이 실행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더는 증권사 api 사용을 위해서 VSCode 32비트 가상환경을 만들 때 오류로 고통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ㅠㅠ

profile
AI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월 1일

이 게시물 덕분에 시간 오래 들이지 않고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32비트도 그렇지만 3.7 이후의 버전에서 안된다는 것에서도 꽤 헤맸네요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7월 14일

좋은 포스트 감사합니다. 덕분에 시간 아낄 수 있었어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