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 DI란? Dependancy Injection(의존성 주입) IOC

생각해보면 전부터 톰캣, 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 등 개념어는 난무하는데 머리속에서 깔끔하게 정리가 되지 않았다. 스프링을 파고들어가면 결국엔 근본적으로는 무수한 HTTP Request, Response 속에서 이를 자동화(?)해서 처리해주는 것이 서블릿인데 이 개념이

ArgumentResolver ArgumentResolver란?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WAS의 Web Endpoint인 Presentation Layer를 담당하는 Controller는 많은 매개변수를 처리한다. 레거시 버전이 아닌 대부분의 스프링 (스프링부트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HTTP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 전반적인 로깅을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전에 Logback에 관해서 학습을 하기도 했고, 간단하게 해당 Logback 등을 적용해서 전반적인 HTTP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 로깅을 적절한 방식으로 남겨보고 싶었다.

Spring을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면서 @Transactional을 이용해본적 없는 개발자는 없을 것입니다. @Transactional을 선언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노테이션 하나로 DB에 트랜잭션을 적용할 수 있으며해당 어노테이션을 통해 트랜잭션 전파유형, 롤백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