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 트리 → CSSOM 트리 → 렌더트리 → 레이아웃 → 페인트서버로부터 HTML 자원을 받아와서 DOM 트리를 생성한다.서버로부터 CSS 자원을 받아와서 CSSOM 트리를 생성한다.DOM Tree와 CSSOM Tree로 브라우저에 레이아웃을 잡아줄 렌더트리를 생성
코테를 준비하면서, 알고리즘 공부해보면서, 혹은 실제로 개발하면서 sort() 요 함수 친구 많이 사용하게 됨.특히 이 글을 쓰게 된건 코테 준비하면서 정렬할 일이 많았기에 쓰게됨.문자열 정렬은 당연하고 숫자로 된 배열을 정렬할 일이 많은데 내 생각대로 되지 않아 당황
vscode에서 다른 파일들을 import할 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상대경로를 path로 불러온다.규모가 작은 프로젝트, 혹은 토이 프로젝트 수준에서는 크게 번거로움은 없지만규모가 커지거나 프로젝트 구조가 복잡해진다면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절대경로로
깃헙 레포 링크과제 배포 링크제시된 기획서에 따라 어드민 페이지를 기획.구체적인 기능들은라이브러리를 활용한 dateTimePicker 커스터마이징라디오 버튼과 관련한 상태값 관리 및 상태값 토글 기능이미지 업로드 시 파일명 노출등등....gitignore 관리가 더 잘
깃헙 레포 링크과제 배포 링크1) 제공되는 API를 통해 실시간 환율정보를 가져와서 송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에 송금 국가에 해당하는 환율을 곱한 전체 금액을 구하는 계산기를 구현하는 과제.2) API를 통해선 USD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환율정보만 받아볼 수 있는데 이때
HTML에서 image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src 는 source 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이미지를 불러올 것인지를 정해주는 것이다.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이미지 컴포넌트의 주소를 정해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source 뒤에 속성 값으로 적어주는 방
위에 시도했는데 ios에서는 성공했지만 android에서는 실패함. 그래서 리넥 공홈에서 추천하는 방법인 하나의 컴포넌트로 관리로 바꿈. 이렇게 하면 android도 잘 적용되긴 함. 그런데 폰트 적용은 되는데 스타일 상속이랑 boxSize 등 다른 속성값들이 변
Homebrew Homebrew : https://brew.sh/ Homebrew 사이트에서 설치한 후 터미널에서 위의 명령어를 통해 설치 및 버전을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erArra
여러 선택지가 렌더링 된 후에 이들 가운데 user가 선택한 선택지들만 다른 효과(이번 프로젝트에서는 background-color와 color만 다르게 효과를 주었다.)를 주는 방법으로 style component를 통해 props를 주고 그 props를 style
2차 프로젝트 술고 에서의 userData의 형식은 다음과 같이 서버에서 불러와진다. 이때 key에 "alcohol_" 로 시작하는 데이터들은 배열안의 배열로 관리되는 편이 좋을 것 같아서 가공을 해보았고, 생각보다 가공할 때 로직 공부하던게 재밌었고 도움이 많이 되어 기록으로 남겨본다. 먼저 userData를 infinity depth로 배열 형태로 ...
위코드 1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많은 부분이 힘들고 어려웠지만 서버 단에서 리소스를 받아 화면에 렌더링하는 부분을 많이 맡았던 난 서버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받아서 가공하는 지가 쉽지않았다. 서버에서 데이터를 통으로 받아서 프론트 단에서 가공해서 써야될 때가 왕왕 있
prices는 배열이며, 각 요소는 매일의 주식 가격입니다. 만약 한 번만 거래할 수 있다면, 제일 큰 이익은 얼마일까요?
양수 N을 이진법으로 바꿨을 때, 연속으로 이어지는 0의 갯수가 가장 큰 값을 return해 주세요. 이어지는 0은 1과 1사이에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과 1사이에 있는 0을 binary gap 이라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