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06 - JavaScript Basic

crystalee·2021년 6월 7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1/15
post-thumbnail

📖 JavaScript Basic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기초 지식도 없는 내추럴 상태로 처음 시작하는 공부이다.
기본이 시작이라고 꼼꼼하게 하나씩 이해하면서 공부하자😆

✍️ JavaScript Basic Types

타입의미방법
numbers(기본)" 나 '가 붙지 않는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var i = 30;
string" 혹은 ' 중 하나로 깜싸야 한다.var str = "abc"; or 'abc';
booleantrue/falsevar bool = false;
null아무런 값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다.var n = null;
undefined변수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null 값과 동일하다.var u;

Numbers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가 붙지 않은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

alert(1+1);  //결과 : 2

alert(1.2+1.3);  //결과 : 2.5

alert(2*5);  //결과 : 10

alert(6/2);  //결과 : 3

복잡한 연산

Math.pow(3,2);  //9, 3의 2승

Math.round(10.6);  //11, 10.6을 반올림

Math.ceil(10.2);  //11, 10.2를 올림

Math.floor(10.6);  //10, 10.6을 내림

Math.sqrt(9);  //3, 3의 제곱근

Math.random();  //0부터 1.0 사이의 랜덤한 숫자

String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중의 하나로 감싸야 한다. "로 시작하면 "로 끝나야하고,
'로 시작하면 '로 끝나야한다.

alert("coding everybody");

숫자를 따옴표로 감싸면 문자가 된다. typeof는 값의 데이터 형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alert(typeof "1")  //결과 : string

따옴표 없는 숫자는 number가 출력된다.

alert(typeof 1)  //결과 : number

만약, 문자열 안에 "나'를 넣고 싶다면 \를 앞에 위치시켜 문자열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가 아니라 단순히 문자로 해석할 수 있도록 강제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을 이스케이프(escape)라고 한다.

alert("egoing\"s javascript");

여러줄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n를 넣는다. \n은 줄바꿈을 의미하는 특수한 문자이다.

alert("반갑습니다.\n자바스크립트 공부 열심히해요");

문자연산

문자와 문자를 더할 때는

alert("coding"+"everybody");   //결과 : cording everybody

문자의 길이를 구할 때는 문자 뒤에 .length를 붙인다.

alert("coding everybody".length);   //결과 : 16

Boolean

boolean은 오직 true, false만 존재한다.

var x=5;
var y=6;
var z=7;
(x==y)  //ture 반환
(x==z)   //false 반환

Undefined

값이 없는 변수에는 undefinde라는 값이 할당된다.

var car;  //값도 undefined이고 데이터 타입도 undefined

변수에 명시적으로 undefined값을 할당함으로 변수의 값을 비워놓을 수도 있다.

car=undefined;  //값도 undefined이고 데이터 타입도 undefined

Null

null은 말그대로 '비어있는'이라는 뜻입니다. 아무런 값이 존재하지 않는게 맞는것 같지만 null의 데이터 타입은 객체로 나타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null의 타입이 객체로 잡히는 것은 일종의 버그라고 생각을 하자. null의 데이터 타입은 원래 null이 나와야 정상이다.

객체의 값을 비우고 싶으면 null값을 할당하면 된다.

var person={firstName:"John",lastName:"Jin",age:50,eveColor:"red"};  
//원래 데이터 타입은 null이 나와야 하지만 검색해보면 객체로 나온다(자스버그)

객체의 값을 비우는 행위로 null 대신 undefined를 지정해도 된다.

var person={firstName:"John",lastName:"Jin",age:50,eveColor:"red"}person=undefined;  
//이제 person의 할당된 값과 데이터 타입은 모두 undefined

🤔 null과 undefined의 차이

null 은 변수를 선언하고, 빈 값을 할당했을 때, undefined 는 변수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는다. 즉, 자료형이 결정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null의 빈 값은 숫자의 경우 0, 문자열의 경우 '', 객체형데이터(array, object)의 빈 값을 의미한다. 모두 if문에서 false로 형으로 변환이 된다.

typeof undefined  //undefined
typeof null  //객체
null === undefined //false
null == undefined  //null

✍️ 기본 메소드

Alert

함수가 실행되면 사용자가 ‘확인(OK)’ 버튼을 누를 때까지 메시지를 보여주는 창이 계속 떠있게 됩니다.

alert("HELLO");

Prompt

함수가 실행되면 텍스트 메시지와 입력 필드(input field), 확인(OK) 및 취소(Cancel) 버튼이 있는 창을 띄워줍니다.

result = prompt(title,[default]);  
//title =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자열 , default = 입력 필드의 초기 값(선택 값)

Comfirm

수는 매개변수로 받은 question(질문)과 확인 및 취소 버튼이 있는 창을 보여줍니다.
사용자가 확인버튼를 누르면 true, 그 외의 경우는 false를 반환합니다

let isBoss = confirm
alert (isBoss);  //확인 버튼을 눌렀다면 true가 출력

❗️마치며 ❗️

아직까지는 어렵게라도 따라갈 수 있는데 다음부터는 반복적으로 봐야 이해할 것 같다..😢
지금까지 배웠던 html/css와는 다른 언어를 배우는거라 훨씬 더디어진 속도지만 오래걸리더라도 하나하나 이해해나가며 넘어가자 😀

profile
코린이 성장일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