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Codex, 제미나이 이용 연간 회고글 작성

Jerry·2025년 9월 15일
0

매일 AI

목록 보기
5/5

이전 글에서 말씀드렸는데, 저는 2006년부터 개인 메모 + 업무 관련 글을 뜨문뜨문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했습니다. 이 기록을 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마크다운 형식으로 변경하고 이를 CLI 기반 클로드 코드, codex, gemini cli를 이용해서 연간 회고 글을 작성했습니다.

바로 들어가기 전 간단하게, 연도별로 기억을 정리하면 어떤 점이 좋을지 물어보았습니다. 언제나처럼 GPT, 제미나이, 클로드 3가지 모두에게 물어보았습니다.

## 연간 회고 문서가 주는 도움

- 성장의 가시화: 1년간 무엇을 배우고, 어떤 것을 성취했으며, 어떻게 성장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흩어져 있던 점(일일 메모, 프로젝트 기록)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성장 서사로
  보입니다.
- 패턴 발견: 성공과 실패, 좋았던 습관과 나빴던 습관 등 반복되는 패턴을 발견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현재의 나에게 주는 의미

- 맥락과 관점 제공: "내가 왜 지금 여기에 있는가?"에 대한 답을 줍니다. 과거의 선택과 노력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현재 겪는 어려움이나 고민에 대해 더 넓은 관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자신감과 동기 부여: 지난 성취들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현재의 도전을 이겨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목표를 다시 한번 상기하며 현재의 노력을 지속할 동기를 부여합니다.

결국 연간 회고는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내가 대화하는 통로와 같습니다. Obsidian의 Daily
노트, 프로젝트 문서들을 연결하여 연간 회고를 작성해 보시면, 흩어져 있던 지식과 경험이 현재의
삶을 지탱하는 단단한 뿌리가 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주로 9시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려고 하는데, 이런 습관들이 잘하고 있는거구나 하는 것을 구체적인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 기대하였습니다.

아래 프롬프트를 이용해서 연도 별 회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프롬프트도 AI 도움을 받았습니다.

## Task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여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전체 문서를 바탕으로 각 연도 별 연간 회고 리포트를 작성해주세요.

파일은 지정한 연도에 생성되었거나, 수정된 문서를 참고하세요.
또는 문서 제목에 220224(22년 2월 24일), 220724(22년 7월 24일) 등의 연도가 있는 파일을 참고하세요.

그리고 해당 년도에 생성, 수정한 파일은 별도의 리스트로 정리해서 알려주세요.

[2019년] 연간 회고:

1. **Year in Numbers**

   - 작성 문서: N개
   - 완료 프로젝트: N개
   - 읽은 책: N권
   - 참여 행사: N회
   - 새로운 만남: N명

2. **월별 하이라이트**

   - 1월: [주요 이벤트]
   - 2월: [주요 이벤트]
     ... (12월까지)

3. **Top 10 Moments**

   -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
   - 가장 어려웠던 도전
   - 최고의 학습 경험
     ... (10개)

4. **성장 그래프**

   - 기술적 성장: Before → After
   - 개인적 성장: Before → After
   - 관계적 성장: Before → After

5. **내년 테마와 목표**
   - 연간 테마: [한 단어/문장]
   - 3대 목표와 구체적 계획

## Format
연간 회고 참고 문서
/Users/jerry/Library/CloudStorage/GoogleDrive-erdia22@gmail.com/내 드라이브/jerry-remote/400-프로젝트영역/420-실행단계/424-내기억비서/연간 요약/2023년 연간회고.md

## 파일 저장 경로 디렉토리
/Users/jerry/Library/CloudStorage/GoogleDrive-erdia22@gmail.com/내 드라이브/jerry-remote/400-프로젝트영역/420-실행단계/424-내기억비서/연간 요약 - 여기 경로 밑에 파일로 만들어줘.

연도별 회고 문서 리스트입니다.

문서 하나하나 만들고 들여다보니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동안 나름 많이 배우고 달라졌구나 싶었습니다. 뿌듯합니다.

2020년도에 리눅스 기본 개념을 유데미 강의 들었습니다. 그전까지 리눅스는 기본이라고 계속 미루어 두었던 건데, 그 때 한번 정리한다는 기분으로 강의를 들었는데 그게 이후에도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필요하다 싶은 부분을 강의도 듣고 블로그도 쓰면서 발전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2. **월별 하이라이트**

- **1월**: Linux 시스템 운영 학습 (scp, rsync 명령어 정리)
- **3월**:
  - 네트워크 기초 학습 (IP 주소 체계, DNS 이해)
  - Linux 아카이빙 (tar 명령어)
  - SSH 보안 설정 및 키 관리
  - Shell 스크립트 산술 연산 학습

그리고 2,3년 전부터 제가 회사도 나이 많이먹고도 이직할 수 있고, 나름 밥 벌어먹고 사는게 쿠버네티스 덕분인 것 같은데 그게 2018년, 2019년 남들보다 조금 빠르게 쿠버네티스를 공부한 덕분인 것 같습니다. 그 때 흔적도 찾을 수 있어 뿌듯했습니다.

- **5월**: Kubernetes 인증/인가 체계 학습 (RBAC, ServiceAccount)
- **6월**: -
- **7월**:
  - Kubernetes CronJobs 운영 방법 학습
  - Kubernetes Storage (PV/PVC) 구조 이해

기록이 완전하지는 않았습니다. 좀 더 상세한 기록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좀 더 체계적으로 메모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 10년 후 2035년에 2025년도 연간 회고하면 조금 더 상세한 기록이 남아 더 즐거울 것 같습니다.

profile
도서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저자. 쿠버네티스/EKS 관련 문의 erdia22@gmail.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