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를 선언하는 법을 배우고 null 과 undefined의 차이, 그 변수의 타입을 아는 법을 배웠다. 또한 strig에서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법, 줄바꿈 하는 법, 자료형을 변환하는 법을 배웠다. 객체를 표현하는 법도 배웠는데 이 객체와 변수를 사용하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var n = 1;
console.log(typeof(n));
var str = "3.141592는 파이의 근삿값이다.";
var pi_int = parseInt(str)
console.log("쌍따옴표\"\를 문자열 안에 쓸 수 있습니다.");
console.log("문자열입니다.\n그리고 줄을 바꿔서 다음 문자열입니다.");
var obj = {name: "이도현", age : 25};
var book = {"title":"어린왕자"};
console.log("제목:", book["title"]);
var a;
var b = null;
console.log("a의 자료형 :", typeof(a), "입니다.");
console.log("b의 자료형 :", typeof(b), "이고, 값은", b,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