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


📌 컴퓨터 공학 측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실습

데이터의 형태를 살펴보아야 하는데, 여러가지 형태가 있지만 대표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TEXT : 각각의 속성을 콤마(,)로 연결
202401,홍길동,32,010-1111-1111,aaa@aa.ac.kr
  • XML : 태그(tag)로 엮어 활용 - 사이즈가 너무 커짐
    • OpenAPI(), DTD, Schema(정해진 태그만을 사용하도록 정의하는 것)
<students>
<student>
	<student_num> 202401</student_num>
    <student_name part=home">홍길동</student_num>
    <age>32</age>
</student>
<student>.....</student>
</students>
  • JSON : 리스트({}) 형태로 묶어 활용
[
{"student_num":202401,"student_name":"홍길동", "age":32, "phone":010-1111-2222, "email":"aaa@aa.ac.kr"}
{"student_num":202401,"student_name":"홍길동", "age":32, "phone":010-1111-2222, "email":"aaa@aa.ac.kr"}
]

📍 MySQL 설치

앞으로 진행할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해 MySQL Workbench를 설치하였습니다.

설치과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hongong.hanbit.co.kr/mysql-%EB%8B%A4%EC%9A%B4%EB%A1%9C%EB%93%9C-%EB%B0%8F-%EC%84%A4%EC%B9%98%ED%95%98%EA%B8%B0mysql-community-8-0/)

설치를 마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쿼리문을 작성해보기 위해 'File > New Query Tab'을 선택해줍니다.


📍 ERD 생성

  • 관계 설정 : 1:n이면 n에 해당하는 자식이 부모를 가리켜야 한다. 자식은 부모의 PK를 가리키면 된다.

이때, m:n의 관계로 엮어 있는 '수강'은 별도의 테이블을 만들어 관계를 구현해줘야 한다.

여기서 AK는 Alternative Key를 의미하는데 성능상의 이유로 사용되는 가상키이다. 수강신청 정보를 저장할 때 중복되는 수강정보를 저장하면 안되므로 PK가 아닌, AK로 사용을 한다.

예를 들어, 구매 테이블에서 구매번호를 저장할 때 제품코드와 고객코드 정보가 중복될 수 있으므로 구매번호가 FK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강 테이블에서는 과목코드와 학번은 중복이 되면 안되므로 수강번호를 AK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테이블로 시각화해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인공지능과 알고리즘 설계 및 웹 기술


📌 리눅스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및 실습


📌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용

profile
욕심 많은 공대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