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tage AI Lab] [3주차] 파이썬 기본 다지기
✒️ 변수와 자료형
- 변수 : 어떠한 값(value)을 담는 저장 공간과 그에 상응하는 이름
📍 변수
🔻 변수 이름
- 값(value_의 의미를 추측할 수 있는 이름 사용
- 변수 선언할 때 몇가지 규칙 존재
- 영문자 혹은 _(underscore)로 시작
- 대소문자 구분
- 숫자로 시작 불가
- 특수 문자 (+,-,%,&) 사용 불가
- 변수 이름에 공백 불가 (보통 _ 로 이어줌)
- 파이썬의 예약어 (if, while, for 등) 사용불가
🔻 변수 의미
- 변수란, '변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떻나 값을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기
- 예) A=1 은 1을 A라는 상자(변수)에 담아줘!라는 의미
- 이것을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표현
- 그동안 사용했던 같다라는 의미의 '= (등호)'는 프로그래밍에서 '=='로 표시
- 변수에 줄 수 있는 값 : 숫자, 문자, 다른 데이터타입 모두 가능
- 변수를 만들고나면 변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주소가 생김
📍 자료형(data type)
🔻 종류
- 순서 자료형
- 숫자 number : 정수, log형 정수, 실수, 복소수 등
- 문자열 strings : 문자들의 모임
- 리스트 Lists : 순서를 가지는 python 객체의 집합
- 튜플 tuples : 순서를 가지는 python 객체의 집합
- 비순서 자료형
- 딕셔너리 dictionary : 순서를 가지지 않는 객체의 쌍 (key & value)
- 집합 set : 중복 x, 순서 x 객체의 집합
- 부울 bool :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
📌 숫자형 number
-
종류
- 숫자형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
- 정수 integer : 소수점이 없는 숫자
- 실수,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 소수점이 있는 숫자
-
데이터 타입 출력
- type() : 괄호 안에 입력한 데이터 타입을 알려주는 함수
-
연산자
- 사칙 연산자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 정수 나누기 연산자 : 나머지(%)
- 나머지 연산자 : 몫 (//)
- 제곱 연산자 : 제곱 (**)
-
관련 함수
- int() : 숫자나 문자열을 정수형(integer)으로 변환
- float() : 숫자나 문자열을 실수형(float)으로 변환
- abs() : 절대값 출력
- pow() : 제곱 출력
📌 문자열 strings
-
문자열 만들기
- 큰 따옴표 사용
- ex. word="hello"
- 작은 따옴표 사용
- ex. word='hello'
-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넣기
- ex. "I'm smart"
- 이스케이프 문자 사용
- 'Raeul은 \파이썬 프로그래밍\ 강의를 한다'
- 여러 줄 문자열 만들기 : 큰/작은 따옴표를 3번 반복한 기호 안에 적기
- ex. """ 글을\n여러줄\n쓰기 """
-
이스케이프 문자
- 출력물을 보기 좋게 만드는 용도
- \n : 줄바꿈
- \t : 탭
- \ : 역슬래시
- \' : 작은 따옴표
- \" : 큰 따옴표
- 연산자
- 문자열도 숫자형처럼 연산 가능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문자열 반복 연산자(*)
- 인덱싱과 슬라이싱
- 인덱싱
-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
- 문자 선택 연산자 ([])
- 대괄호[] 안에는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라고 부름
- 순방향 인덱스 : 0부터 시작
- 역방향 인덱스 : -1부터 시작
- 문자열[인덱스]로 호출
- 슬라이싱
- 문자열[a:b] : a부터 b-1까지
- 파이썬은 '마지막 숫자를 포함하지 않음'을 적용!
- 포맷팅 (formatting)
-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
- % 연산자 포맷팅
- 문자열 포맷 코드에 맞춰 바로 숫자와 문자를 대입할 때 사용
- 숫자(정수)대입 : %d
- 숫자(실수) 대입 : %f
- 문자 1개 대입 : %c
- 문자열 대입 : %s
✒️ 입출력과 제어문
✒️ 클래스와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