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로컬 PC의 Chrome을 사용하던 중 어느날 갑자기 "조직에서 관리하는 브라우저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더라고요...

처음에는 별 생각이 없었습니다. 회사 PC에서도 이 메시지를 자주 봤으니까요. IT팀에서 보안 정책을 적용해서 나오는 거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집 컴퓨터도 뭔가 설정이 있나보다" 정도로 넘어갔죠.
그런데 며칠 후, Chrome이 너무 무거워지고, YouTube도 너무 렉이 심해지더라고요... 생각해보니 얼마 전에 어떤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서 이상해진 것 같았습니다. 그제야 깨달았습니다. 이건 회사 IT팀이 아니라 악성코드였습니다.😈😈
저는 조심스러운 사용자라고 자부했습니다. 수상한 사이트는 안 가고, 이상한 프로그램도 안 깝니다. Chrome 웹 스토어에서 리뷰가 괜찮은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뿐인데 이런 일이 발생했습니다.
Reddit에서 비슷한 피해자들을 찾았습니다. 한 유저는 레지스트리를 삭제해도 몇 시간 뒤 다시 생긴다고 했고, 다른 유저는 결국 Windows를 완전히 재설치했다고 합니다.
이 글은 제가 문제를 해결하며 배운 모든 것을 정리한 기록입니다. "조직에서 관리" 메시지, 회사 PC가 아니라면 의심해보세요.
회사나 학교 PC에서 이 메시지가 나타나는 건 정상입니다. 쉽게 말해 회사 및 조직에서 직원이 웹 브라우저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하거나 허락되지 않은 URL에 접속하는 것을 막는 합법적인 기능입니다.
IT 관리자 → Active Directory 또는 MDM → Chrome 그룹 정책 → 직원/학생 PC
목적:
이 경우 chrome://policy에서 명확한 조직명이나 관리 서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 PC에서 이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악성 프로그램 → Windows 레지스트리 조작 → Chrome 정책 주입 → 사용자 PC
특징:
저는 회사에서 이 메시지에 익숙했기 때문에 집 PC에서도 의심하지 못했습니다. 이것이 함정이었습니다.
Chrome의 정상적인 기업용 기능을 악용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Google\Chrome 에 값 주입왜 위험한가:
회사의 정상적인 보안 정책처럼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심하지 않습니다.
| 피해 | 설명 |
|---|---|
| 검색 조작 | 모든 검색이 악성 사이트로 리다이렉트되어 광고 수익 발생 |
| 정보 탈취 | 입력하는 모든 내용 추적 가능 |
| 추가 감염 | 다른 악성코드 다운로드 통로로 활용 |
| 개인정보 유출 | 로그인 정보, 결제 정보 노출 위험 |
| 성능 저하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인한 브라우저 렉 |
사례 A (u/No_Chocolate7133)
microsearchers.com, followsearcher.com사례 B (u/wrudoingstepsis)
공통점:
1. 가짜 Chrome 확장프로그램 (40%)
- 웹 스토어 "구경"만 해도 위험
- 유사 이름 확장프로그램 (Spell Checker, Ad Blocker Plus 등)
- 리뷰 조작된 확장프로그램
2. 번들웨어 (35%)
- 무료 PDF 변환기
- 동영상 다운로더
- 게임 런처/부스터
3. 가짜 업데이트 (15%)
- "Flash Player 업데이트 필요"
- "Java 최신버전 설치"
4. 크랙/키젠 (8%)
- 불법 소프트웨어 활성화 도구
5. 피싱 사이트 (2%)
- 공식 사이트 모방 다운로드
사실 특별한 설정 변경을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평소대로 크롬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정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무료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함께 설치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악성코드는 설치 후 몇 달간 잠복할 수 있습니다:
[3월] 무료 프로그램 설치
[4월-6월] 아무 일 없음
[7월] 갑자기 Chrome 정책 변조 시작
이렇게 시간차를 두면 "최근에 뭐 깔았지?" 추적이 불가능해집니다.
Chrome 주소창에 입력:
chrome://policy
정상 상태: 3개 섹션 모두 "설정된 정책 없음"
- Chrome 정책: 설정된 정책 없음
- 우선순위 정책: 설정된 정책 없음
- 확장 프로그램 정책: 설정된 정책 없음
회사/학교 PC: 명확한 조직명, 관리 서버 정보 표시
악성코드 감염: 다음과 같은 의심스러운 정책들
- DefaultSearchProviderEnabled
- DefaultSearchProviderSearchURL (수상한 도메인)
- DefaultSearchProviderName
- ExtensionInstallForcelist
- HomepageLocation
- RestoreOnStartup
- 출처: "Platform" 또는 불명확
chrome://extensions
의심 항목:
Reddit 사례에서 확인된 도메인:
- microsearchers.com
- followsearcher.com
- search-guru.com
- quick-search.net
특징:
/redirect?tid=숫자 형태.com/search?q={searchTerms} 로 검색어 탈취아래 단계들을 순서대로 적용해 보며 정상 상태로 복구되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가장 먼저 시도할 방법입니다. 확장프로그램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방법:
chrome://extensions 접속
또는 메뉴 아이콘 → 도구 더보기 → 확장 프로그램
조치:
1. 설치된 모든 확장프로그램 비활성화
2. Chrome 재시작 후 문제 해결 여부 확인
3. 해결되었다면 확장프로그램을 하나씩 활성화하며 원인 찾기
4. 문제의 확장프로그램 삭제
확장프로그램으로 해결되지 않았다면 Chrome 설정을 초기화합니다.
방법 1: 직접 접속
chrome://settings/reset
방법 2: 메뉴에서 접근
메뉴 아이콘 → 설정 → 좌측 '고급' → 재설정 및 정리하기 →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원
주의: 이 과정에서 북마크, 비밀번호 등은 유지되지만, 확장프로그램과 설정은 초기화됩니다.
Chrome 초기화로도 해결되지 않았다면 로컬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준비:
Win + E → 파일 탐색기 → 보기 → 표시 → 숨긴 항목 체크
삭제 경로: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Google
조치:
1. 위 폴더로 이동
2. Ctrl + A로 전체 선택
3. 삭제
4. Chrome 재실행
위 방법들로 해결되지 않았다면 악성코드가 레지스트리를 조작한 경우입니다.
주의: Reddit 사례에서 85%가 재발했습니다. 이는 임시 조치입니다.
1) Chrome 완전 종료
Ctrl + Shift + Esc → 작업 관리자
chrome.exe 전체 프로세스 → 작업 끝내기
2)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Win + R → regedit → 확인
3) 백업 (필수)
파일 → 내보내기 → 전체 범위 → 저장
4) 정책 삭제
주소창에 복사 붙여넣기: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Google\Chrome
Chrome 폴더 우클릭 → 삭제
추가 확인 경로: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Google\Chrome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Google\Enrollment
5) Chrome 재시작 후 chrome://policy 확인
레지스트리가 계속 재생성된다면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는 악성 프로그램이 있는 것입니다.
Malwarebytes 스캔
https://www.malwarebytes.com/
다운로드 → 전체 검사
Process Explorer로 의심 프로세스 찾기
https://learn.microsoft.com/sysinternals/downloads/process-explorer
실행 → 수상한 프로세스 우클릭 → Kill Process Tree
최근 설치 프로그램 확인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설치 날짜" 정렬
최근 3개월 내 수상한 항목 제거
Reddit 전문가 의견:
"악성코드가 Chrome 설정을 바꾸는 유일한 방법은 관리자 권한을 받는 것입니다. 몇 달간 잠복 가능합니다. 이 유형의 악성코드를 제거하는 가이드를 따르지 마세요. Windows를 다시 설치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입니다."
— u/88c
"Windows에는 악성코드가 숨어 있을 수 있는 수십억 개의 구석이 있습니다. 확실하려면 Windows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 u/codear
이유:
Windows 초기화: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PC 초기화
"내 파일 유지" 선택
이 글을 쓰면서 깨달은 건, 아무리 조심해도 완벽하게 안전할 수는 없다는 거였습니다. 더군다나 회사 PC에서 익숙하게 보던 메시지라서 집 PC에서도 전혀 의심하지 못했습니다. 이게 악성코드의 가장 교묘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만약 개인 PC에서 "조직에서 관리" 메시지를 보셨다면, 한 번쯤 의심해보시길 권합니다. chrome://policy에 들어가서 확인해보세요. "설정된 정책 없음"이 뜨면 안전합니다. 회사나 학교 PC라면 명확한 조직 정보가 보일 겁니다. 그런데 만약 출처가 "Platform"이고 수상한 검색 엔진 관련 정책들이 보인다면, 이 글의 방법들을 순서대로 시도해보시면 됩니다.
혹시 비슷한 문제를 겪고 계시거나 다른 악성 URL을 발견하신 분이 계시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함께 정보를 나누면서 조금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식 문서:
보안 도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