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ECS Auto Scaling & EventBridge 활용 아키텍처
1️⃣ AWS EventBridge와 ECS Task 자동 실행
AWS EventBridge를 활용하면 ECS 태스크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 이벤트 기반 트리거: 특정 이벤트 발생 시 ECS 태스크 실행
- 스케줄링 실행: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 실행 (예: 1시간마다 실행)
- AWS Fargate와 연계 가능: 서버리스 환경에서 ECS 태스크 실행
✅ 예제: 1시간마다 ECS 태스크 실행
1️⃣ EventBridge 스케줄 규칙 설정
2️⃣ AWS Fargate에 ECS 태스크 실행 요청 전송
3️⃣ 지정된 ECS 서비스에서 태스크 실행
💡 실제 활용 사례
- 📰 뉴스 데이터 수집: 매 1시간마다 웹 크롤러 실행
- 📊 데이터 분석 배치 작업: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
2️⃣ AWS ECS Auto Scaling & SQS 활용
ECS 태스크 개수를 자동으로 조정하려면 SQS 대기열과 Auto Scaling을 연계할 수 있다.
🔹 SQS 기반 Auto Scaling 동작 방식
1️⃣ 사용자가 요청을 보냄 → 메시지가 SQS Queue에 쌓임
2️⃣ ECS Auto Scaling 정책이 활성화
3️⃣ 태스크 수 증가 (트래픽 증가 시 자동 확장)
4️⃣ 태스크가 줄어들 때 이벤트 브릿지가 상태 변화를 감지
5️⃣ SNS 알림 발송 (태스크 종료, 실패 감지)
✅ 활용 사례
- 동시 요청이 많은 웹 서비스
→ SQS를 통해 요청을 버퍼링하고, 필요 시 태스크 확장
- 비동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
→ 데이터 처리량이 많을 때만 태스크 확장
3️⃣ AWS Auto Scaling & EventBridge 아키텍처 정리
🎯 솔루션 아키텍처 개요
✅ EventBridge → 일정에 맞춰 ECS 태스크 실행
✅ SQS + ECS Auto Scaling → 요청량 증가 시 태스크 확장
✅ SNS 알림 시스템 → 태스크 상태 변화 감지 및 알림
📌 ECS Auto Scaling & EventBridge 아키텍처 예제
사용자가 요청 → SQS Queue에 적재 → ECS Auto Scaling 활성화 → 태스크 증가
↓
태스크 완료 → EventBridge가 상태 감지 → SNS를 통해 알림 발송
💡 이벤트 기반 & 자동 확장 솔루션을 구축할 때 최적의 방법
✅ 결론
- EventBridge를 활용하면 ECS 태스크를 자동 실행할 수 있다.
- SQS + ECS Auto Scaling을 결합하면 요청량에 따라 자동 확장 가능하다.
- SNS와 연계하면 태스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다.
- 이벤트 기반 &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구축하면 비용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