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 데이터 : 데이터나 스키마를 , 보통관계형 데이터에서 찾을수 있다질의가 쉽다, 쿼리문을 날리기가 쉽다. 행과열로 나열 되어있지비 정형 데이터 :비디오, 이미지, 파일등 예시인데 메타데이터를 추출해야한다.다양한 포멧이 가능하다.반구조화 데이터: 정형데이터만큼 정형되
비유: 집의 정문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습니다.보안: 비밀번호와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로 보호됩니다.설명: MFA는 마치 이중 잠금장치와 같습니다. 비밀번호(알고 있는 것)와 보안 장치(소유하고 있는 것)를 동시에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
AWS EC2(Elastic Compute Cloud)는 클라우드에서 가상 서버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EC2를 '클라우드 속 컴퓨터 대여소'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운영 체제 선택: 리눅스, 맥OS, 윈도우 등 다양한 운영 체제를 선택할
IPv4 주소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 4개로 구성됩니다. 이는 마치 4자리 우편번호와 같습니다.예: 192.168.1.1비용: 미사용 시에도 요금 부과관리 복잡성: 다수 관리 시 어려움보안: 고정 IP로 인한 공격 위험Route 53과 같은 DNS 서비스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가상화 기술: 물리적 하드웨어를 가상 환경으로 변환하여 여러 가상 머신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기술.기반 기술: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자원의 효율적 활
정의: 온프레미스는 IT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를 사용자의 물리적 데이터센터나 시설에 설치하고 직접 관리하는 환경입니다."온프레미스"라는 용어는 "내부에 설치된(on-premises)"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특징:완전한 제어권:기업이 서버, 네트워
컨테이너는 서버 가상화보다 훨씬 가볍고 빠른 기술입니다.가상 서버: 운영체제(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필요하며, 이로 인해 상당한 리소스를 소비합니다.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의존성 패키지만 포함하기 때문에 가볍고 빠릅니다.또한, 컨테이너
서버리스 컴퓨팅은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 AWS가 물리 서버와 서버 관련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개념: 이벤트 기반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특징:모든 종
AWS는 크게 세 가지 스토리지 유형을 제공합니다: 파일, 블록, 오브젝트 스토리지.데이터를 파일과 폴더 구조로 관리컴퓨터의 파일 시스템과 유사특징: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관리계층적 구조로 쉽게 탐색 가능EFS(Elastic File System)와 FSx가 대표적장점:
Amazon RD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데이터베이스 엔진 지원: 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등 다양한 엔진 지원EC2 기반: EC2 인스턴스를 사용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IPv4입니다.각 숫자는 0부터 255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예: 192.168.0.1IP 주소 뒤에 접두사의 길이를 표현합니다.예: 192.168.1.0/16에서 앞의 16비트는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는 가변적입니다.비유: CI
특징: 상태 저장(stateful) 방화벽기능:각 인스턴스에 하나 이상 필요허용 규칙만 존재 (명시적 거부 없음)기본 설정: 모든 인바운드 트래픽 차단, 모든 아웃바운드 트래픽 허용비유: 보안 그룹은 아파트의 현관문과 같습니다. 허가된 사람만 들어올 수 있지만, 나가는
수정중
헷갈리는 서비스들 설명표 SQS와 SNS의 주요 차이점 | 기능 | SQS | SNS | | --- | --- | --- | | 통신 모델 | Point-to-Point (1:1 또는 1:다수 처리 가능) | Publish/Subscribe (1:다수) | | 메시지 저장 여부 | 메시지를 큐에 저장 (소비자가 직접 가져가야 함) | 메시지 저장하지 않...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S3 버킷 + CloudFront: 정적 콘텐츠를 호스팅하는데 사용. S3는 파일(HTML, CSS, 이미지 등)을 저장하고, CloudFront는 이를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배포하는 CDN 역할을 함.동적 웹사이트 처리:API Gateway +
EC2 (Elastic Compute Cloud):EC2는 가상 서버를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작업,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운영, 웹 서버 호스팅, 배치 처리 등을 수행합니다.사용자는 운영체제, 메모리, 스토리지 크기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 마을 안의 주민: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S3에 요청을 보낸다. VPC (Virtual Private Cloud) → 마을을 감싸는 울타리: 내부(네트워크)를 보호하며 외부와 연결을 통제한다. → 내부에는 공용 도로(퍼블릭
문제풀이5프라이빗 서브넷: 인터넷 접근이 차단된 서브넷으로, 외부와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 NAT를 통해야 한다.NAT 인스턴스: EC2 인스턴스를 NAT 역할로 설정해, 프라이빗 서브넷의 리소스가 인터넷에 접근하도록 돕는다.NAT 게이트웨이: AWS 관리형 NAT 서비
중단을 허용할 수 있다 = 스팟인스턴스 컨테이너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 ECS, EKSS3 객체 수정 및 삭제 방지 = S3 Object Lock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배포 = Fargate + ECS연결수가 많다 = RDS Proxy 데이터베이스와 스토리지 의 차
설정 및 복사특정 구역에 설정 후 글로벌 지역에 복사하여 사용 가능퍼블릭 AMIAWS에서 제공하는 퍼블릭 AMI 사용 가능자체 AMI자체적으로 AMI를 생성할 수 있음AWS 마켓플레이스AWS 마켓플레이스에서 AMI를 구매하여 사용 가능인스턴스 설정: 원하는 대로 인스턴
고성능 및 대용량 필요 시 사용: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드웨어 디스크일시적인 스토리지:인스턴스를 중지 또는 종료하면 스토리지 손실 발생장기적인 데이터 보관에 부적합버퍼 및 캐시 용도로 적합: 일시적 사용에 적합하지만, 장기 보관에는 부적합백업 및 복제 필요: 데이터를 안
gp2, gp3: 비용 효율적이며, gp3가 최신 시대의 볼륨입니다.멀티 어택:같은 AZ 내 인스턴스 연결 가능각 인스턴스는 고성능 볼륨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을 모두 가짐동시에 읽기 및 쓰기 가능애플리케이션 가용성 보장최대 16개의 인스턴스까지 동시에 연결 가능
가용성: 높음확장성: 뛰어남비용: 높음다중 AZ 지원: 다른 가용 영역 (AZ)에 있어도 연결 가능보안 그룹: EFS 접근 조정에 사용Performance ModeGeneral Purpose (일반 용도)Max I/O (최대 I/O)Throughput ModeBurst
수직 확장성은 인스턴스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의 CPU,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를 업그레이드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마치 경력직과 신입 직원의 역량 차이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즉, 더 강력한 하드웨어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여러 서버(인스턴스)로 분산하여 부하를 줄이고 장애를 방지하는 역할을트래픽 분산: 여러 인스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보장: 장애 발생 시 정상헬스 체크(Health Check): 인스턴보안 강화: HTTPS 및AWS에
Application Load Balancer (ALB)는 AWS의 고급 로드 밸런싱 솔루션으로, OSI 모델의 7계층에서 작동하며 HTTP/HTTPS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ALB는 7계층에서 작동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세밀하게 관리합니다.동일한 EC2
계층: L4 계층 (네트워크 레이어)트래픽: TCP, UDP 트래픽을 인스턴스로 전달성능: 매우 높아서 초당 수백만 건의 요청을 처리 가능특성: 가용 영역별로 하나의 고정 IP를 가짐대상 그룹 생성대상 그룹 리다이렉트대상 그룹 유형:EC2 인스턴스IP 등록 (반드시 하
보안: 보안에 강점을 두며, 모든 사용자의 트래픽이 GWLB를 통과합니다.L3 계층: 네트워크 트래픽을 3계층(L3)에서 처리합니다.대상 그룹: EC2 인스턴스 또는 프라이빗 IP를 대상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트래픽 흐름:모든 사용자의 트래픽은 GWLB를 통과합
개념: 고정 세션을 실행하면,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인스턴스로 지속적으로 연결됩니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이 요청을 보낼 때 1번 인스턴스로 연결되었다면, 다음 요청도 같은 인스턴스로 갑니다.이 기능은 Application Load Balancer (ALB)에서도 실행
크로스존 로드 밸런싱은 여러 가용 영역(AZ)에 걸쳐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가용 영역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기본 설정기본적으로 크로스존 로드 밸런싱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SSL(보안 소켓 계층)과 TLS(전송 계층 보안)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SSL vs TLSSSL(보안 소켓 계층)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초기 프로토콜입니다.TLS(
ELB(Elastic Load Balancer) 연결 드레이닝(Connection Draining)은 서버에서 트래픽을 안전하게 종료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서버에서 처리 중인 요청을 안전하게 완료한 후 연결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연결 드레이닝은 로드 밸런서에
Auto Scaling Group(ASG)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인스턴스 수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 변화에 따라 인프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ASG 런치 템플릿런치 템플릿은 ASG가
Auto Scaling Group(ASG)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인스턴스 수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 변화에 따라 인프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ASG 런치 템플릿런치 템플릿은 ASG가
RDS란?: SQL을 쿼리 언어로 사용하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용 이유: 관리형 서비스로서 많은 기능을 제공지속적인 백업모니터링 대시보드 제공다중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 AZ) 지원SSH 접속 불가자동 스케일링 (Auto Scaling)저
기술 특징:Postgres와 MySQL을 혼합하여 개발자동 확장 스토리지: 데이터를 더 넣을수록 자동으로 확장읽기 전용 복제본 최대 15개 생성 가능클라우드 네이티브로 높은 가용성 제공다중 AZ 데이터 복제:기록할 때마다 3개의 AZ에 걸쳐 6개의 복사본 생성쓰기 작업
자동화된 백업:RDS 서비스가 자동으로 전체 백업을 수행35일간 백업 보관해당 기간의 어느 시점으로든 복구 가능수동 데이터베이스 스냅샷:사용자가 수동으로 백업 트리거백업을 원하는 기간 동안 유지 가능비용 절감 효과데이터베이스 중지 시에도 스토리지 비용 부과됨스냅샷이 데
AWS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및 Amazon Aurora는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보호를 위해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접근 제어, 로깅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프록시가 필요한 이유: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을 형성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애플리케이션이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일일이 연결하는 대신 프록시에 연결하면,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로 가는 연결이 줄어듭니다.연결이 많으면 C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직접 조회하는 대신 캐시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면 응답 속도가 개선되고 데이터베이스 부하가 줄캐시 히트(Cache Hit): 요청한 데이터가 캐시에캐시 미스(Cache Mi
DNS(Domain Name System)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사용자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DNS가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예: 142.250.190.78)를 찾아 웹 브라우저가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TTL은 네트워크 패킷이나 DNS 레코드의 생존 시간을 의미합니다. TTL 값은 패킷이나 레코드가 유효한 시간을 나타내며, 이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적화하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입니다.클라이언트가
Amazon Route 53은 다양한 DNS 라우팅 정책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헬스 체크를 통해 리소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주요 라우팅 정책에는 단순 라우팅, 가중치 기반 라우팅, 지연시간 기반 라우팅 등이 있습니다.단순
퍼블릭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할 때 시간을 알려줍니다.데이터베이스는 필요하지 않으며, 다운타임이 작습니다.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t2.micro 인스턴스에서 m2.large 인스턴스로 수직 확장합니다.탄력적 IP를 설정하여 동일한 IP를 유지하며 업그
쇼핑몰에서 사용자의 장바구니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ELB(Elastic Load Balancer)와 오토스케일링을 활용한 다중 AZ(Avalibility Zone) 인프라에서는 동일 사용자가 다른 EC2 인스턴스로 연결될 수 있어 장바구니 데
웹사이트에 접근하면 업로드한 이미지가 즉시 표시되는 기능을 포함한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웹사이트를 구축하려면,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조합하여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해야 한다.도메인 관리: Route 53로드 밸런싱: Multi-AZ ELB (Elastic Load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확장성, 가용성,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C2, AMI, 부트스트래핑, Elastic Beanstalk, RDS, EBS 스냅샷 등을 조합하여 인프라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살펴보자.설명:OS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속성을 미리 설치
AWS에서 스토리지는 백업, 데이터 저장, 아카이브 용도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서비스로 S3, EBS, EFS, Glacier 등이 있다. 이 중 Amazon S3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S3는 버킷(Bucket)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버
AWS S3를 활용하면 정적 웹사이트(HTML, CSS, JavaScript 등)를 쉽게 호스팅할 수 있다.단, S3의 기본 설정은 퍼블릭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을 위해 적절한 설정이 필요하다.✔️ S3 버킷에 HTML, CSS, JS, 이미지
S3 라이프사이클 정책을 활용하면 객체 저장 비용을 최적화하고 자동으로 데이터 이동 및 삭제를 설정할 수 있다.라이프사이클 규칙은 Transition Actions(이전)과 Expiration Actions(만료) 두 가지 주요 동작을 포함한다.Transition Ac
| 목차 | 정리 - 링크 | | --- | --- | | AMI | https://velog.io/@eunchaipark/AMI | | EC2-인스턴스-스토어 | https://velog.io/@eunchaipark/EC2-인스턴스-스토어 | | EBS-볼륨 | ht
AWS S3에서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서버측 암호화(Server-Side Encryption, SSE) 및 클라이언트측 암호화(Client-Side Encryption, CSE)를 제공합니다. 각각의 방식은 데이터 보호 수준과 키 관리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CORS는 웹 브라우저의 보안 정책 중 하나로, 한 웹사이트에서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를 요청할 때 발생하는 교차 출처 요청(Cross-Origin Request)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이다.즉, 출처(Origin)가 다른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지 여부를 서버가 결정한
AWS S3를 사용할 때, 보안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한다.이번 글에서는 S3 접근 제어, 로깅, Pre-Signed URL, 객체 잠금 정책 등 필수 개념을 정리한다.S3 버킷은 승인(Approval)과 거버넌스(Governance)와 관계없이
S3 버킷 안에 많은 데이터가 존재할 때 이를 효율적으로 액세스하고 관리하기 위해 S3 Access Points(액세스 포인트)를 활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면 특정 목적에 맞는 접근 정책을 설정하여 보안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S3 액세스 포인트는 개
대량의 정적 콘텐츠를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하려면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 필수적이다.AWS CloudFront는 글로벌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에 콘텐츠를 캐싱하여 읽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안성을 강화하며, D
AWS에서 퍼블릭 ALB(Application Load Balancer)를 활용해 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EC2 인스턴스를 안전하게 연결하고, CloudFront를 사용해 보안 및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이 글에서는 ALB + EC2 연결, 지리적 제한(Geo Res
애니캐스트(Anycast):하나의 IP 주소가 여러 개의 서버(리전)에 할당됨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서버로 자동 라우팅됨글로벌 엑셀러레이터(Global Accelerator)가 사용예: 사용자가 한국에서 요청하면 한국에 가까운 AWS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트
MFA는 계정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인증 요소를 요구하는 인증 방식이다.기본적인 ID(사용자 이름)와 비밀번호만 사용하는 단일 요소 인증(SFA, Single-Factor Authentication)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다.기본적인 비밀번호 기반 로그인 방식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이동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네트워크 속도와 대역폭 제한으로 인해 전송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한 환경에서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WS 스노우패밀리(AW
AWS FSx는 완전 관리형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로, 네이티브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며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주요 FSx 유형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개요완전 관리형 Windows 파일 시스템으로, Active Directory(AD)와 통합 가능파일 서버 역
AWS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권장하며, 일부 인프라는 AWS 클라우드에 두고 나머지는 온프레미스에서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이러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AWS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핵심 서비스가 AWS Storage Gateway이다.AWS St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이동해야 할 때, AWS는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또는 AWS에서 AWS로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이 글에서는 AWS DataSync 및 Snowcone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이전하는 방법을 알아본다.데이터 마이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 확장성, 그리고 비동기 처리이다.Amazon SQS(Simple Queue Service)는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 간의 비동기 메시지 큐 역할을 수행하며, 트래픽의 급증에
AWS에서는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Amazon SNS (Simple Notification Service)와 Amazon SQS (Simple Queue Service)를 활용할 수 있다. SNS는 주제(Topic) 기반의 게시-구독
Amazon Kinesis는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를 위해 AWS에서 제공하는 핵심 서비스로, Kinesis Data Streams(KDS), Kinesis Data Firehose(KDF), Kinesis Data Analytics(KDA), Kinesi
AWS에서 제공하는 Kinesis, SQS, SNS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메시징을 위한 서비스이지만, 각 서비스의 특징과 활용 방식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각 서비스의 차이점과 활용 사례를 다루며, 트럭 GPS 데이터 처리 시나리오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Kine
컨테이너(Container) 기술은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을 함께 패키징하여 어디서든 일관된 실행을 보장하는 기술이다.호환성 문제 없음 → 환경이 달라도 동일하게 실행 가능가벼움 → 가상머신(VM)보다 빠르고 리소스를 절약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의 대표적인 구현체로, 여
Auto Scaling은 시스템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AWS의 관리형 서비스다.필요할 때만 리소스를 추가하여 비용 절감수요 변화에 따른 자동 대응안정적인 서비스 운영 가능Auto Scaling은 ECS 태스크(Task) 단위와 EC2 인스턴
AWS EventBridge를 활용하면 ECS 태스크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이벤트 기반 트리거: 특정 이벤트 발생 시 ECS 태스크 실행스케줄링 실행: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 실행 (예: 1시간마다 실행)AWS Fargate와 연계 가능: 서버리스 환경에서 ECS
AWS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는 완전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배포하고 확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KS는 Kubernetes 표준을 지원하므로,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AWS에서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Fully Managed Service)를 통해 개발자가 기반 인프라를 신경 쓰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다.✅ 서버 프로비저닝 불필요✅ CPU, RAM 등 리소스 선택만으로 간편 배포✅ 자동 확장(Auto Scalin
서버리스(Serverless)란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을 의미한다. 하지만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서버의 프로비저닝, 유지보수, 확장 등을 클라우드 제공자가 자동으로 처리한다는 의미이다.즉, 개발자는
AWS Lambda는 서버를 직접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 실행 요청이 있을 때만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하므로 비용 효율적이며, 다양한 AWS 서비스와 긴밀하게 통합된다.Lambda는 실행할 때 필요한 패키지를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또는 Aurora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람다 함수는 이벤트 기반으로 실행되며, 이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조회할 수 있습니다.람다 함수가 RDS 또는
Amazon DynamoDB는 완전 관리형(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높은 가용성, 자동 확장성,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합니다. 다중 AZ(가용 영역) 복제를 통해 내구성을 보장하며, 서버리스(Serverless)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합니다.DynamoDB는
DAX(DynamoDB Accelerator)는 완전 관리형 인메모리 캐시 서비스로, 읽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DynamoDB의 읽기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완전 관리형, 고가용성 지원: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 지속 가능.인메모리 캐시 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다.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특정 기능을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예를 들어, 날씨 앱이 기상청 API를 호출하여
AWS Cognito는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를 인증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서비스다.이를 통해 사용자는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과 안전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사용자 인증을 담당하는 서버리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메일, 비밀번호 등의 정보로 사용자를 등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