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Accelerator

은채의 성장통·2025년 2월 10일
0

AWS

목록 보기
58/79

AWS 글로벌 엑셀러레이터(AGA)와 CloudFront 개념

1. 애니캐스트(Anycast)와 유니캐스트(Unicast)의 차이

  • 애니캐스트(Anycast):
    • 하나의 IP 주소가 여러 개의 서버(리전)에 할당됨
    •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서버로 자동 라우팅됨
    • 글로벌 엑셀러레이터(Global Accelerator)가 사용
    • 예: 사용자가 한국에서 요청하면 한국에 가까운 AWS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트래픽이 전달됨
  • 유니캐스트(Unicast):
    • 하나의 IP 주소가 특정 서버(리전)에만 연결됨
    •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서버로 라우팅됨
    • 일반적인 네트워크 통신 방식

2. AWS 글로벌 엑셀러레이터(Global Accelerator) 작동 방식

  • 사용자가 ALB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AWS 네트워크를 활용
  • 공용 인터넷을 거치는 대신 가장 가까운 AWS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트래픽을 전달
  • 애니캐스트 IP를 사용하여 글로벌 트래픽 라우팅
  •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최적의 리전으로 트래픽을 리디렉션

📌 예시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사용 시

  • 인도에서 AW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인도의 AWS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로 들어감
  • 공용 인터넷 대신 AWS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ALB로 전달됨
  •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경로를 확보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미사용 시

  • 인도에서 ALB에 접근 시 미국 공용 인터넷을 거쳐 도달
  • 네트워크 지연(latency) 및 패킷 손실 발생 가능

3. 탄력적 IP(Elastic IP)의 활용

  • EC2, ALB, NLB와 함께 사용 가능
  • 상태 확인(Health Check) 기능이 있어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대체 리소스에 연결
  • 재해 복구(DR) 및 가용성 유지에 효과적
  • 글로벌 엑셀러레이터와 결합 시 고정된 글로벌 IP 주소 제공

보안적 장점

  • AWS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DDoS 공격 방어
  • 특정 IP 또는 네트워크 대역을 화이트리스트에 추가 가능

4. AWS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vs CloudFront 차이

항목AWS 글로벌 엑셀러레이터AWS CloudFront
주요 기능트래픽 최적화 및 라우팅콘텐츠 캐싱 및 가속화
적용 대상ALB, NLB, EC2S3, ALB, 온프레미스 서버 등
캐싱 여부❌ 캐싱 불가능✅ 캐싱 가능
IP 주소글로벌 고정 IP 제공CloudFront 도메인 사용 (고정 IP X)
트래픽 전달 방식사용자의 가장 가까운 AWS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최적의 리전에 라우팅정적/동적 콘텐츠를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제공
사용 사례글로벌 사용자 대상 ALB, EC2 성능 향상웹사이트, 동영상 스트리밍, API 응답 속도 개선

클라우드프론트(CloudFront) 주요 특징

  • 정적 및 동적 콘텐츠 가속
  • 대부분의 경우 캐싱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성능 향상
  • 글로벌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역할 수행

글로벌 엑셀러레이터(Global Accelerator) 주요 특징

  • 글로벌 고정 IP 주소 제공
  • 캐싱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간 트래픽을 최적의 AWS 리전으로 전달
  •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 결론

  • CloudFront: 주로 정적/동적 콘텐츠 캐싱 및 가속화에 사용
  • Global Accelerator: ALB, NLB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 트래픽 최적화

5. 캐시 무효화(Cache Invalidation)와 TTL

  • CloudFront의 캐시 무효화(Cache Invalidation)
    • S3 또는 원본 서버의 파일을 수정하면 캐시된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음
    • 이를 방지하기 위해 CloudFront 캐시를 무효화해야 함
    • 특정 파일 경로로 캐시를 삭제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설정 가능

예시: S3에 새로운 파일 업로드 시 캐시 무효화 적용

aws cloudfront create-invalidation --distribution-id <배포ID> --paths "/images/logo.png"
  • 위 명령어는 /images/logo.png 파일에 대해 캐시를 무효화하여 새 파일을 가져오도록 설정

TTL(Time To Live) 조정

  • TTL이 너무 길면 오래된 데이터가 캐시에 남아있어 최신 업데이트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 필요 시 TTL을 짧게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캐시를 무효화하여 변경 사항을 빠르게 반영

profile
인생 별거 없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