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Cloud

은채의 성장통·2025년 2월 19일
0

AWS

목록 보기
62/79

AWS Storage Gateway: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스토리지 완벽 가이드

AWS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권장하며, 일부 인프라는 AWS 클라우드에 두고 나머지는 온프레미스에서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AWS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핵심 서비스가 AWS Storage Gateway이다.


✅ AWS Storage Gateway란?

AWS Storage Gateway는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가상 어플라이언스로,

온프레미스 데이터의 클라우드 백업,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캐싱 기능을 제공한다.

💡 쉽게 말해,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원활하게 연동하는 브릿지 역할을 한다.

💡 S3, FSx, Glacier와 같은 AWS 스토리지 서비스와 연결하여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지원한다.


✅ AWS Storage Gateway 유형

Storage Gateway는 4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할과 특징이 다르다.

1️⃣ File Gateway (파일 게이트웨이)

  • 온프레미스 파일 서버와 AWS S3를 연결
  • 사용자는 NFS(Network File System) 또는 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을 통해 S3에 직접 액세스
  • 로컬 캐싱 지원 → 자주 사용하는 파일은 빠르게 액세스 가능
  • IAM 정책을 통해 버킷 접근 권한 제어 필요

사용 사례

  • AWS S3 기반 파일 공유
  • 기업 내부 파일 서버의 클라우드 확장
  • 백업 데이터 관리

🔹 FSx File Gateway

  • FSx for Windows File Server와 연결하여, Windows 파일 공유 서비스 제공
  • 로컬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싱하여 지연시간 단축

2️⃣ Volum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 iSCSI(인터넷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반 스토리지를 제공
  • EBS 스냅샷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S3로 백업하고 필요 시 온프레미스로 복구 가능

운영 모드

  1. 캐시 볼륨 (Cached Volume)
    •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만 로컬에 저장하고, 나머지는 S3에서 가져옴
    • 온프레미스 스토리지 비용 절감 가능
  2. 저장 볼륨 (Stored Volume)
    • 모든 데이터를 온프레미스에 저장하고, S3에 백업
    • 로컬에서 빠른 데이터 액세스 가능

사용 사례

  • 데이터 백업 및 재해 복구
  • 온프레미스 SAN(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과 AWS 연동

3️⃣ Tape Gateway (테이프 게이트웨이)

  • 물리적 테이프 대신 가상 테이프(Virtual Tape Library, VTL)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백업
  • S3 또는 Glacier에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용 절감
  • 기존 백업 소프트웨어(예: Veeam, Veritas, Commvault)와 호환

사용 사례

  • 기업의 장기 데이터 보관 및 백업
  • 기존 테이프 백업 인프라를 AWS로 이전

4️⃣ AWS Hardware Appliance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

  • 일반적으로 Storage Gateway는 가상 머신(VM)으로 배포되지만, AWS에서 직접 제공하는 하드웨어 장비도 선택 가능
  • 온프레미스에 하드웨어 장비를 배치하여 로컬 성능 극대화

사용 사례

  • 로컬 데이터 센터에서 고성능 데이터 처리 필요
  • 대규모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AWS Storage Gateway 아키텍처 시각화

Storage Gateway의 동작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시각화했다.

[온프레미스]            [AWS 클라우드]
+------------------+     +-----------------+
|  Application     |     | Amazon S3       |
|  Servers        |     | Amazon FSx      |
+------------------+     | Amazon Glacier  |
       |                 +-----------------+
       ▼
+----------------------+
|  AWS Storage Gateway |  ← 온프레미스-클라우드 연결
+----------------------+
       ▲
       |
+------------------+
|  Local Cache    |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

💡 핵심 개념 정리

  • 파일 게이트웨이: S3와 파일 공유 (NFS, SMB)
  • 볼륨 게이트웨이: iSCSI 기반 데이터 백업
  • 테이프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기반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
  • 하드웨어 게이트웨이: 물리적 어플라이언스 제공

✅ AWS Storage Gateway 선택 가이드

유형주요 특징사용 사례
File Gateway파일 기반 스토리지, NFS/SMB 지원온프레미스 파일 서버 확장, AWS S3 데이터 공유
FSx File GatewayFSx for Windows와 통합Windows 파일 공유, 온프레미스 데이터 캐싱
Volume GatewayiSCSI 스토리지, EBS 백업재해 복구, SAN 데이터 백업
Tape Gateway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VTL), S3/Glacier 연동기존 테이프 백업 시스템의 클라우드 이전
Hardware Appliance물리적 게이트웨이 장비 제공대규모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로컬 성능 최적화

✅ 결론

AWS Storage Gateway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백업, 데이터 공유, 성능 향상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기업이라면 파일 공유, 볼륨 백업, 장기 데이터 보관 등의 목적에 맞춰 적절한 Storage Gateway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파일 서버 연동 → File Gateway

💡 iSCSI 볼륨 백업 → Volume Gateway

💡 테이프 백업 대체 → Tape Gateway

💡 하드웨어 기반 최적화 → AWS Hardware Appliance

이제 AWS Storage Gateway를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구축해 보자! 🚀

profile
인생 별거 없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