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권장하며, 일부 인프라는 AWS 클라우드에 두고 나머지는 온프레미스에서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AWS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핵심 서비스가 AWS Storage Gateway이다.
AWS Storage Gateway는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가상 어플라이언스로,
온프레미스 데이터의 클라우드 백업,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캐싱 기능을 제공한다.
💡 쉽게 말해, 온프레미스 데이터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원활하게 연동하는 브릿지 역할을 한다.
💡 S3, FSx, Glacier와 같은 AWS 스토리지 서비스와 연결하여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지원한다.
Storage Gateway는 4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할과 특징이 다르다.
✔ 사용 사례
🔹 FSx File Gateway
✔ 운영 모드
✔ 사용 사례
✔ 사용 사례
✔ 사용 사례
Storage Gateway의 동작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시각화했다.
[온프레미스] [AWS 클라우드]
+------------------+ +-----------------+
| Application | | Amazon S3 |
| Servers | | Amazon FSx |
+------------------+ | Amazon Glacier |
| +-----------------+
▼
+----------------------+
| AWS Storage Gateway | ← 온프레미스-클라우드 연결
+----------------------+
▲
|
+------------------+
| Local Cache |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
💡 핵심 개념 정리
유형 | 주요 특징 | 사용 사례 |
---|---|---|
File Gateway | 파일 기반 스토리지, NFS/SMB 지원 | 온프레미스 파일 서버 확장, AWS S3 데이터 공유 |
FSx File Gateway | FSx for Windows와 통합 | Windows 파일 공유, 온프레미스 데이터 캐싱 |
Volume Gateway | iSCSI 스토리지, EBS 백업 | 재해 복구, SAN 데이터 백업 |
Tape Gateway |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VTL), S3/Glacier 연동 | 기존 테이프 백업 시스템의 클라우드 이전 |
Hardware Appliance | 물리적 게이트웨이 장비 제공 | 대규모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로컬 성능 최적화 |
AWS Storage Gateway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백업, 데이터 공유, 성능 향상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기업이라면 파일 공유, 볼륨 백업, 장기 데이터 보관 등의 목적에 맞춰 적절한 Storage Gateway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파일 서버 연동 → File Gateway
💡 iSCSI 볼륨 백업 → Volume Gateway
💡 테이프 백업 대체 → Tape Gateway
💡 하드웨어 기반 최적화 → AWS Hardware Appliance
이제 AWS Storage Gateway를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구축해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