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
정의 | 데이터 복구를 위해 허용 가능한 데이터 손실량의 최대치 | 시스템/서비스 복구에 필요한 최대 허용 중단 시간 |
목적 |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며 손실을 최소화 |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며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 |
측정 단위 | 시간 (초, 분, 시간, 일) | 시간 (초, 분, 시간) |
초점 | 데이터 복구 | 운영 복구 |
예시 | "최대 1시간 전 데이터까지 복구 가능해야 한다." | "시스템은 최대 2시간 안에 복구되어야 한다." |
결과 | 손실 데이터 복구 수준 결정 | 복구 시간 계획 및 비상 대응 시간 설정 |
(애플리케이션)
|
(프라이빗 서브넷)
|
(라우팅 테이블) -----> (VPC 엔드포인트) -----> (S3 버킷)
RESTful API = API Gateway
트랜잭션이 삭제 = SQS
항목 | 내용 |
---|---|
정의 |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안전하고 빠르게 전송하기 위한 AWS 관리형 서비스. |
주요 기능 | - 온프레미스 ↔ AWS 간 데이터 이동- 데이터 동기화 및 전송 자동화 |
특징 | - 자동화: 일정 간격으로 데이터 복사 및 동기화- 빠른 전송: 네트워크 최적화 및 암호화- 다양한 지원: NAS, NFS, SMB, HDFS → S3, EFS 등과 연결 가능- 비용 효율성: 사용량 기반 요금제로 네트워크 비용 절감 |
사용 사례 | - 백업 및 복구: 온프레미스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S3에 백업- 데이터 아카이빙: 오래된 데이터를 S3 Glacier로 이동- 마이그레이션: 온프레미스 데이터를 AWS로 이전- 분석 준비: 분석 서비스 활용을 위해 AWS로 데이터 전송 |
장점 | - 데이터 전송 속도 및 효율성 향상- 간편한 설정과 자동화- 높은 보안 수준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