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 | SaaS | PaaS | IaaS |
---|---|---|---|
정의 |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 |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 |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 |
사용자 제어 수준 | 낮음 | 중간 | 높음 |
관리 책임 | 제공업체가 모든 것을 관리 |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만 관리 | 사용자가 OS부터 관리 |
유연성 | 제한적 | 중간 | 매우 높음 |
사용 사례 | 이메일, CRM 등 |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테스트 | 가상 서버, 스토리지 등 |
특성 | 멀티 클라우드 | 인터클라우드 |
---|---|---|
정의 |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략 | 프라이빗, 퍼블릭,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상호 연결된 "클라우드의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개념 |
목적 | 업체 종속성 탈피, 서비스 안정성 확보, 다양한 기능 활용 | 클라우드 간 상호 연결을 통한 유연성 및 확장성 제공 |
구조 | 서로 다른 업체의 2개 이상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 | 다양한 유형의 클라우드를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
주요 이점 | 클라우드 공급자 Lock-in 탈피, 협상력 확보, 서비스 탄력성 | 워크로드 배치의 자유로운 선택, 비즈니스 요구에 따른 유연한 적응 |
기술 예시 |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간 API 연동, 컨테이너 기술 활용 | Cisco Intercloud Fabric |
관리 방식 | 각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별 관리 및 통합 관리 도구 사용 | 통합된 관리 플랫폼을 통한 중앙 집중식 관리 |
보안 고려사항 | 멀티레이어 보안성 확보, 데이터 보호 및 흐름 가시화 | 일관된 보안 정책 적용, 클라우드 간 안전한 데이터 이동 |
리전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지리적으로 독립된 영역을 의미합니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용 영역은 리전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으로 격리된 데이터 센터 그룹입니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티어 | 역할 | 비유 | 주요 특징 | AWS 서비스 |
---|---|---|---|---|
프레젠테이션 티어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데이터 표시 및 사용자 입력 처리 | 레스토랑의 웨이터: 고객과 직접 소통하며 주문을 받고 음식을 서빙 | -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 정적인 콘텐츠를 표시- HTML, JavaScript, CSS 등으로 구현-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에 해당 | - Amazon CloudFront- Amazon Route 53- Elastic Load Balancing (ELB)- Amazon Cognito- Amazon S3 (정적 웹 호스팅) |
로직 티어 | 비즈니스 로직 처리, 데이터 처리 및 계산 수행 | 레스토랑의 주방장: 주문을 받아 요리를 만들고 조리 과정을 관리 | -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동적인 처리를 진행-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처리- 프레젠테이션 티어와 데이터 티어 사이에서 중개 역할 | - Amazon EC2- AWS Lambda- Amazon ECS/EKS- Amazon API Gateway |
데이터 티어 |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데이터베이스 관리 | 레스토랑의 식재료 창고: 필요한 재료를 보관하고 공급 | - 데이터의 저장과 관리를 담당하는 계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파일 시스템으로 구현-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 WAS 요청에 대해 읽거나 쓰는 것을 관리 | - Amazon RDS- Amazon DynamoDB- Amazon S3- Amazon ElastiCache |
혹시 AWS 자격증 공부 어떤걸로 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