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7
, 'Hello' + ' World!'
, x = 10
, myFunction()
등이 표현식이다.let x = 5 * 10;// 여기서 "5 * 10"은 표현식이며, 값 "50"으로 평가된다.
let y = 10; // 10은 리터럴이자 표현식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평가되어 값을 생성하므로 리터럴은 그 자체로 표현식이다.
function myFunction() {
return "Hello, world!";
}
let greeting = myFunction();
/*
myFunction()은 "Hello, world!"라는 값을 생성하므로 표현식이다.
myFunction()은 함수 호출 표현식이다.
*/
console.log(greeting); // Hello, world!
if (x > 0) {
// if문 자체는 값을 생성하지 않지만 내부에 있는 "x > 0"이라는 표현식은 true 또는 false라는 값을 생성한다.
console.log('Positive number');
// if문 자체로는 값을 가지지 않고, 대신 x가 0보다 큰 경우 'console.log('Positive number')'라는 코드를 실행시킨다.
}
몇몇 자바스크립트 구문들(예: 할당(=
), 함수 호출 등)은 동시에 '문'과 '표현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let y = (x = 10);
// "(x = 10)" 부분은 값 "10"을 생성하므로 표현식이다.
// 전체 "let y = (x = 10);" 부분은 변수 y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문이다.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을 구별하는 방법은 변수에 할당해본다.
var myFuc = var x; //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var
/* 변수 선언문은 값으로 평가될 수 없다. 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