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양은지·2023년 5월 9일
0

Network 기초 이론

목록 보기
5/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만약 노트북이 Chrome 브라우저에 접속해 특정 사이트를 방문하려 하고,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크워크가 유선, 무선 2개의 인터넷 회선이 연결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브라우저는 어떤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될까?

Chrome을 실행하면 socket이 열리고 TCP/IP가 바인딩 될 것이다. 그리고 유선, 무선을 각각 움직이는 driver들이 있을 때, 어떤 IP가 바인딩 되어 연결되는 것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선택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는 의미는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일 때 어떤 회선을 선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Switching'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기준을 알기 위해서 route table을 확인해볼 수 있다. cmd창에 route PRINT라고 치면 아래와 같이 route table이 나온다.

첫번째 줄의 인터페이스 항목에 IP가 있는데, 이게 현재 연결된 IP 주소이다. 그 다음 항목인 메트릭 값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데, 메트릭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의미하고 숫자가 작을 수록 비용이 적게 드는 인터페이스이므로 메트릭 값이 작은 인터페이스 IP를 선택하게 된다.

잘 모르는 부분이 많아 조금 더 찾아보니 metric은 결국 어떤 목적지로 가기 위한 최소 비용을 결정해주는 indicator인데, 이게 어떤 특정 하나의 계산 기준을 가진 것은 아닌 듯 하다.

위와 같이 목적지로 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gateway 수(hop count), delay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간 상대 값으로 표현이 된다고 한다.

References

profile
eunji ya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