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커리어 멘토링 | 자신감

Faithful Dev·2024년 10월 22일
0

정찬훈 강사님

Personal Insight

경력단절 질문: 어떻게 설명할까?

경력단절자는 아니지만 졸업 후 취업까지 시간 공백이 커서 그에 대한 질문이 나온다면 공격질문일거라고만 생각했는데 그것을 '경력단절 기간 동안 우리 회사를 위해 무엇을 준비했는가?'를 묻는 질문이라 생각하라는 말씀이 굉장히 인상 깊었다. '졸업 후 취업하기까지 기간이 길었는데 그 동안 뭐하셨어요?' 라는 질문을 들었을 때, 어떻게 능동적으로 비전공자로서 새로운 기술을 습득했고, 지식을 확장했는지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시간을 약점으로 보기보다 오히려 성장의 기회로 전환해서 스스로를 더 당당하게 표현해야겠다.

단점보다는 배운 점을 강조할 것

위의 질문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데, 나의 약점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할 때는 단점 자체보다 그로부터 배운 점과 어떻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지를 강조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단점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성장이 되었음을 증명함으로써 나를 더 긍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

KPI를 기준으로 한 연봉 협상

신입 때부터 연봉 협상 신경쓸 필요 없다! 경력이 생긴 이후 KPI(핵심성과지표)를 기준으로 연봉 협상을 하는 것. 회사의 기대를 이해하고, 내가 회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 지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통과 협력? NO.

소통과 협력은 모든 직무에서 너무 기본적인 덕목이므로 면접에서 소통과 협력을 어필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대사항 중 강조할 부분 찾기

면접 or 자소서, 이력서 등을 작성할 때 채용 공고에서 우대사항을 검토하고, 기업이 가장 예상하지 못할 부분, 혹은 나만이 가질 수 있는 강점을 언급해야 한다. 보통 기업은 기본 자격을 충족하는 많은 지원자들을 만나지만, 예상치 못한 스킬이나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나를 차별화할 수 있다.

자유형식 자기소개서

자유형식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는 자격요건과 우대사항을 목차로 삼아 그에 맞춰 나를 소개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그렇게 하면 내가 가진 능력과 경험이 회사가 필요로 하는 자격과 어떻게 일치하는지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 같다.

FEELING - LEARNING - ACTION

일상생활에서도 관묵적!

profile
Turning Vision into Realit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