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영 강사님
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 X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내용을 트리 구조로 표현하며, 이를 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한다. 브라우저에서 문서를 조작하거나 표시할 때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div>
, <p>
등)를 나타낸다.getElementById()
: 특정 ID를 가진 요소 반환getElementsByClassName()
, getElementsByTagName()
: 클래스나 태그 이름으로 요소 검색.querySelector()
, querySelectorAll()
: CSS 선택자를 사용하여 요소 검색.createElement()
: 새 요소 생성.appendChild()
, insertBefore()
: 요소를 추가하거나 삽입.remove()
: 선택된 요소를 삭제.getAttribute()
, setAttribute()
: 속성값 가져오기 및 설정.removeAttribute()
: 속성 제거.textContent
: 텍스트 내용 가져오기 및 설정.innerHTML
: HTML 코드 가져오기 및 설정.
히히
for
반복문for
문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반복적으로 코드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반복문이다. 주로 반복횟수가 명확할 때 사용된다.
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 반복 실행할 코드
}
true
인 동안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while
반복문while
문은 조건식이 true
일 동안 특정 코드를 반복 실행한다. 반복 횟수가 명확하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되며,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실행을 종료한다.
while (조건식) {
// 조건이 true일 동안 실행할 코드
}
true
면 코드 블록 실행.false
면 반복 종료.true
면 반복한다.while
문은 조건식이 항상 true
이면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반복문 안에서 조건을 변화시키는 코드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while
vs. for
while
false
가 될 때까지 실행.for
do while
문do while
문은 코드를 먼저 실행한 후 조건을 검사하여 반복을 결정하는 반복문이다. 즉, 최소 한 번은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do {
// 실행할 코드
} while (조건);
true
이면 다시 반복 실행.false
이면 반복 종료.false
여도 첫 번째 실행은 보장된다.do while
vs. while
특징 | while | do while |
---|---|---|
조건 확인 순서 | 먼저 조건을 확인하고, 참이면 실행 시작 | 먼저 코드를 실행한 후 조건을 확인 |
최소 실행 여부 | 조건이 false 면 한 번도 실행되지 않을 수 있음 | 조건이 false 여도 최소 한 번은 실행됨 |
사용 사례 | 반복 여부를 조건으로 미리 결정해야 할 때 | 실행 후 조건에 따라 반복 여부를 결정할 때 |
선언적 함수(Declarative Function) 는 함수 선언 방식 중 하나로,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한다. 함수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며 호이스팅(hoisting) 이 적용된다.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실행할 코드
return 반환값;
}
함수 표현식(Function Expression) 은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함수 선언과는 달리 익명 함수 또는 기명 함수를 변수에 저장하여 정의한다.
const 변수이름 = function(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실행할 코드
return 반환값;
};
특징 | 선언적 함수 | 함수 표현식 |
---|---|---|
선언 방식 | function 함수이름() {} | const 변수이름 = function() {} |
이름 | 필수 | 선택 |
호이스팅 | 지원 | 지원하지 않음 |
사용 사례 | 재사용과 명확성을 강조할 때 | 콜백 함수, 일회성 작업 |
호출 가능 시점 | 선언 위치에 관계없이 호출 가능 | 정의 후 |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는 ES6에서 도입된 함수 정의 방식으로, 짧고 간결하게 함수를 작성할 수 있는 표현식이다. 화살표(=>
)를 사용하여 정의하며, 기존 함수 표현식보다 코드가 더 간단해지고 this
의 동작이 차별화된다.
const 함수이름 = (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 실행할 코드
return 반환값;
};
function
키워드 생략=>
)로 함수 정의를 간결하게 표현.this
바인딩의 차이this
를 가지지 않고, 상위 스코프의 this
를 상속한다.return
키워드 생략 가능return
및 중괄호 {}
생략 가능.특징 | 함수 표현식 | 화살표 함수 |
---|---|---|
this 바인딩 | 호출된 컨텍스트에 따라 결정 | 상위 스코프의 this 를 상속 |
사용 용도 | 일반적인 함수 | 간단한 함수, 콜백 함수 |
선언 방식 | const 함수이름 = function() {} | const 함수이름 = () => {} |
return 생략 여부 | 항상 return 명시 필요 | 단일 표현식의 경우 생략 가능 |
호이스팅 | 지원하지 않음 | 지원하지 않음 |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는 다른 함수의 인수로 전달되어 해당 함수 내부에서 호출되는 함수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 작업, 이벤트 처리, 배열 메서드 등의 작업을 처리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1. 함수의 인수로 전달: 콜백 함수는 보통 특정 작업이 완료되거나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호출된다.
2. 함수 안에서 호출: 콜백 함수는 전달된 함수 내에서 정의된 조건에 따라 실행된다.
어김없이 찾아온 월요일 이슈,,
연말이 다가올수록 주말은 더 바빠질 텐데, 체력 관리가 이제는 정말 중요해질 것 같다.
서버 작업을 하는 백엔드보다는 프론트엔드 개발이 개인적으로는 더 잘 맞는 것 같다.
확실히 집중도가 다르다.
화면에 직접 구현되는 걸 볼 때 더 흥미롭고 몰입도 잘 된다는 것을 배우게 된 이번 강의!
그렇다고 해서 하고 싶은 것, 잘할 수 있는 것, 편한 것만 하고 싶지는 않다.
어렵게 느껴지는 상황에서도 주어진 모든 환경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