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번째 수업 | 따릉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Faithful Dev·2024년 9월 19일
0

김수정 강사님

내용

  1.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따릉이 데이터의 여러 CSV 파일을 Pandas로 읽어들여 결합. 대여 시간, 요일, 주말 여부 등 시간 정보와 대여소 위치 데이터를 추가로 처리함.
  2. 분석 도구: Matplotlib, Seaborn으로 시각화. Folium으로 지도 위에 대여소 데이터를 시각화함.
  3. 시각화 방법: 시간대별, 장소별,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이용 패턴을 분석해, 피봇테이블과 히트맵을 통해 시각화. 박스플롯, 카운트플롯, 히트맵 등 다양한 통계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법을 배움.
  4. 지도 활용: Folium의 choropleth로 대여소 위치, 대여 시간 등을 시각화 하고, 인기 대여소를 지도에 표시.

Personal Insight

온라인 수업을 들으면서 종종 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느낄 때가 있다. 아마도 비대면이라는 특성상, 의사소통이 조금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의견을 조율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알지만, 수업 중에 학생들 간의 소통만큼 강사님과 학생 간 상호작용이 조금 더 활발하고 유연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채팅을 찬찬히 읽어봐주셨으면. 그것이 수업의 흐름을 더 부드럽게 만들지 않을까 싶다. 학생들을 많이 배려해주셨으나, 온라인 수업의 한계 때문에 생기는 어려움이 있었던 듯 하다. 조금씩 개선된다면 더 좋은 수업환경이 될 것 같다. 나 또한 내 생각을 고집하기보다 좀 더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이고 싶다.

profile
Turning Vision into Realit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