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번째 수업 | 워드 프레스 실습

Faithful Dev·2024년 9월 24일
0

박온순 강사님

Linux

운영체제란?

운영체제(OS)는 컴퓨터의 '교사' 같은 역할을 한다. 우리가 컴퓨터에게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면, 운영체제가 그 명령을 컴퓨터 하드웨어에 전달하고, 프로그램이 잘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운영체제가 없다면, 컴퓨터는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없을 것이다.

리눅스(Linux)

리눅스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이다. 전 세계 사람들이 마음대로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다. 처음에는 리누스 토발즈라는 사람이 이 운영체제를 만들었다. 리눅스라는 이름은 '유닉스(UNIX)'라는 오래된 운영체제에서 이름을 따왔다.

유닉스는 컴퓨터 초장기에 만들어진 운영체제이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리눅스(Linux)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운영체제는 주로 '윈도우(Windows)'라고 한다. 이 운영체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것이다. 하지만 리눅스는 오픈소스 기반이라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무료로 제공된다. 두 운영체제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리눅스에서는 바로 실행되지 않는다. 하지만, 리눅스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개인 컴퓨터는 윈도우, 서버 컴퓨터는 리눅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개인 컴퓨터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지만, 우리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사이트를 구동하는 서버 컴퓨터들은 리눅스가 많이 사용된다. 서버에서는 안전하고 빠르게 작동해야 하므로, 리눅스 같은 운영체제가 쓰이는 것.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이것을 CLI(Command Line Interface) 라고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내 파일을 보고 싶을 때 ls라는 명령어를 쓰면 컴퓨터가 그 파일을 보여준다. 이런식으로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것이 리눅스에서 자주 하는 작업이다.

리눅스 배포판(Distros)

리눅스는 단일 제품이 아니다. 여러 사람들이 조금씩 다르게 만든 다양한버전들이 있다. 이것을 배포판(Distro) 라고 부른다. 다양한 배포판은 서로 다른 기능이나 디자인을 제공한다. 그래서 리눅스를 처음 시작할 때 어떤 배포판을 선택할지 고민될 수 있다.

우분투(Ubuntu)

우분투는 리눅스 배포판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이다. 2004년에 처음 나왔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 배포판은 '데비안(Debian)'이라는 다른 리눅스 배포판과 비슷하다. 리눅스에는 많은 선택지가 있으나, 우분투는 그중에서도 사용하기 쉬워서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Network

웹 시스템 아키텍처(Web Plus System Architecture)

인터넷을 사용할 때 여러 가지 중요한 컴퓨터와 장비들이 뒤에서 도와준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

  • Physician's Office: 정보를 보내고 받는 주체
  • Internet: 메세지를 전달하는 통로
  • Router: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장치
  • Firewall: 방화벽.

컴퓨터 네트워킹이란?

컴퓨터 네트워킹은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 Communication
  • Resource Sharing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해 영상을 보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모든 과정은 네트워크 덕분이다. 이 때 각각의 활동에 맞는 프로토콜이라는 규칙들이 적용된다.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컴퓨터 간의 규칙이다. 이 규칙을 잘 지키면 통신이 안전하고 빠르게 이뤄진다.

  • 표준화 필요: 서로 다른 컴퓨터가 같은 방식으로 communicate 하기 위해 필요한 규칙
  • 보안

인기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1. HTTP: 웹사이트를 보기 위한 규칙
  2. HTTPS: 웹사이트를 안전하게 보기 위한 규칙
  3. TCP: 데이터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고 받는 방법
  4. UDP: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지만 정확성은 덜 중요한 경우
  5. SMTP: 이메일을 주고받을 때 쓰는 규칙
  6. FTP: 파일을 보내고 받을 때 쓰는 규칙

Layered Architecture

컴퓨터 네트워크는 여러 단계로 나뉘어 있다. 피자 가게에서 피자를 주문 받고, 만들고, 배달하듯이 네트워크도 각각 역할이 있는 단계로 나눠져 있다.

IP 프로토콜과 IP 주소

IP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어떤 길을 따라 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역할을 한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각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고유 주소이다.

  • Public IP: 모두가 볼 수 있는 주소
  • Private IP

Subnetworking

큰 네트워크를 더 작은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서브 네트워킹이라고 한다. 네트워크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나누는 것.

CIDR 표기법

CIDR(Classless Inter_Domain Routing) 표기법은 IP 주소를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숫자로 네트워크와 장치 부분을 나누어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NS (Domain Name System)

DNS는 우리가 기억하기 쉽게 만든 도메인 이름(ex: www.goog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이다.

Firewall

방화벽은 컴퓨터를 보호한다. 안전한 정보를 통과시키고, 위험한 정보는 차단한다.

Port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특정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우편번호

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는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정보를 여러 서버로 나누어 처리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워드 프레스 실습

가상 머신 설정

  1. Azure 포털 에 접속.
  2. 로그인 후 리소스 그룹 만들기
  3. Marketplace에서 가상 머신 검색, 만들기
  4. 지역: Korea Central 사용함
  5. 이미지: Ubuntu 24.04 LTS 사용
  6. 인증 유형: SSH 공개 키 선택
  7. 나머지 설정은 기본값으로 검토 + 만들기

MariaDB 설치하기

  1. 명령 프롬프트에서 가상 컴퓨터에 접속한 후 MariaDB 설치
sudo apt update -y
sudo apt upgrade -y
sudo apt install apache2 mariadb-server php php-mysql -y
  1. MariaDB를 안전하게설정하기.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1. 질문 답하기
    • Current root password?: Enter
    • Swtich to unix_socket authentication?: n 입력하고 Enter
    • Change the root password?: y 입력하고 새로운 비밀번호 설정
    • Remove anonymous users?: y 입력
    •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y 입력
    •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y 입력
    • Reload privilege tables now?: y 입력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및 설치

cd /var/www
sudo wget http://wordpress.org/latest.tar.gz
sudo tar -xvzf latest.tar.gz
sudo mv wordpress html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

워드프레스가 사용할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계정 만들기
1. MariaDB 접속

sudo mysql -u root -p
  1.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만들기
CREATE DATABASE wordpress;
CREATE USE 'wordpressuser'@'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GRANT ALL PRIVILEGES ON wordpress.* TO 'wordpressuser'@'localhost';
FLUSH PRIVILEGES;
EXIT;
  • CREATE DATABASE wordpress; 워드프레스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 CREATE USER 'wordpressuser'@'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wordpressuser라는 사용자와 비밀번호를 설정. 이 사용자가 DB를 관리할 수 있게 할 것
  • GRANT ALL PRIVILEGES ON wordpress.* TO 'wordpressuser'@'localhost'; worepressuser가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권한을 줌

Personal Insight

운영국 측에서 다음 강사님 컨택이나 다음 기수 강의 진행 시, 강사님께도 학생들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 이렇게 하면 강사님께서 학생들이 어디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더욱 잘 파악하실 수 있을 것 같고, 소통의 흐름도 원활해지지 않을까? 어제와 오늘 수업 중에는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답답하게 느껴지는 순간들이 있었다.

강사님께서 중간중간 해주시는 체조나, 퀴즈, 메타버스 접속 같은 활동들이 깨알로 재밌다. 인원수가 많다보니 원활하지 않을 때도 있지만, 이런 활동들이 강의에 활기를 불어주고, 온라인으로 만나지만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친밀함을 촉진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점심시간 지나고서 진행되는 체조는 식곤증을 덜어주는 데 꽤 효과적이다. 어제 수업에 대한 복습을 menti 퀴즈로 진행한 점도 좋았다.

환경에 대한 부분만 강사님과 학생 간 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개선해준다면, 수업이 더 효과적이고 즐거울 것 같다.

profile
Turning Vision into Realit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