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book 2021 주관적 요약] 02. 사업아이디어 평가하기

fano·2021년 1월 26일
0

평가 지표

(아래의 항목 중 1개를 충족하면 Good, 2개이상 충족한다면 Excellent)

1. 타겟 시장의 사이즈

> 수 백만명 이상인가?

2. 이슈의 심각성

> 사람들이 해당 문제에 공감하며 돈을 지불할 의사(여력)를 보이는가

3. 돈이 되는 문제인가

> 타겟시장이 조 단위 이상인가

4. 커지는 이슈인가

> 점점 많은 사람들이 해당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가

+@ 5. 해외시장은 어떤가 (라이프패턴이 비슷한 일본, 중국이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경쟁우위

경쟁우위를 점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명심해야할 점은 경쟁우위는 언제든 변할 수 있다는 것

  1. 가격경쟁력

    • 소싱 비용 - 물건을 저렴하게 떼올 수 있는가
    • 마진 - 비용구조를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는가
  2. 마케팅적 우위

    • 유저를 저렴한 비용으로 모을 수 있는가
  3. 인적 우위

    • 스타트업의 멤버들이 어벤져스급으로 능력이 좋은가
  4. 진입 장벽

    • 경쟁자들이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가
  5. 제품(UX) 우위

    • 유저가 제품에 매력을 느끼는가
    • 제품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가 ->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UX 향상이 주요하다
  6. 결국은 실행력

    • 아무리 위와 같은 경쟁우위를 갖고 있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다.
    • 실패를 두려워 않고 실행하는 조직으로 빌드업해야함

성장곡선이 J커브를 그리기 위해서는..

  1. 타이밍 (시의적절성)
    • 이는 결국 시장 분석의 부산물
  2. 문제의 종류, 개수에 대해 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3. 단위(scale) 당 비용이 낮아지는 구조, Network Effect(유저가 늘수록, 신규 유저들이 많이 유입되는 현상)이 필요하다.

창업가의 의지가 제일 중요하다

내가 이 비즈니스를 얼마나 하고 싶은가? 진심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가?

의지가 강하다면 문제는 어떤 식으로든 풀린다.

시장이 없다면 시장을 만들고, 경쟁우위가 없다면 경쟁우위를 만든다
profile
서비스를 생각하는 개발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