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누구나(?) hex editor를 이용해서 게임 세이브 파일을 에디트 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닌텐도 게임보이™️로 출시됐던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내가 중학생 시절 엄청난 열풍을 불러 일으켰다. 이 글을 시작으로 포켓몬스터 골드버전 에디터를 nextjs를 이용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프로젝트 game play color아이폰에서 (혹은 아이패드) nintendo gameboy 게임들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나도 개발에 동참해보고 싶은 생각이 예전부터 쭈욱 있다가 최근들어 시도 해보다가README.md 를 읽어
vim으로 zshrc 파일을 수정한다.첫줄에 zmod...은 zprof 명령어를 실행하게 해주는데이 명령어를 통해 프로파일링 가능하다.alias hf...은 숨김파일 표시 해제alias ht...은 숨김파일 표시zprof를 돌렸을때 가장 의심스러웠던 부분이 shell_
var로 선언한 변수는 또다시 같은 이름으로 선언해도 에러가 나지 않는다.프로그램이 복잡해질경우 내가 선언한 변수의 이름을 일일히 기억하지 못했다가 저런식으로 다시 선언해서 큰 낭패를 볼 수 가 있다.let으로 다시 선언하면 에러가 난다.let으로 선언하고 값을 '12
비동기방식으로 페이지를 다시 로드하지 않고 서버에 요청할 수 있게 해준다.yarn을 사용한다면 yarn add axiosnpm을 사용한다면 npm install axios function1은 axios.get 요청이 성공했을때 //.thenfunction2는 요청이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페이지를 작성중에<Nav.Link>를 쓰는 상황이 있는데<Nav.Link>와 <Link>는 일종의 <a>태그입니다.그래서 <a>태그 안에 <a>태그가 있다는 warning이 뜨는데...이렇게 바꿔 주시면 됩니다.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마운트 될때, 렌더링이 일어날때, 컴포턴트가 언마운트 될때마다 실행되는 훅(hook)이다.function1은 마운트 될때, 렌더링 될때 실행된다.function2는 언마운트 될때 실행된다.case2 코드는 case1코드와 거의 흡사하다
터미널을 실행한후 zshrc 파일을 수정해주세요.vi(vim)이 실행되면 i 키를 눌러서 편집 모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위의 두줄을 vi 에디터로 입력 해줍니다.첫줄은 컬러모드를 사용하겠다고 알려주는건데...0을 넣어도 실행되고 1을 넣어도 잘 되네요...주석처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