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이란?

나현·2022년 12월 13일
2

HTTP 정리

목록 보기
1/4

IP

IP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할때 사용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이며, 각각의 통신장치는 자신의 고유한 IP주소를 갖는다. 패킷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IPV4

오늘날 일반적으로는 IP version 4인 IPV4를 사용한다. IPV4는 8비트의 옥텟(octet)이 4마디로 표기되며, 32비트 체계를 가진다.  IPV4는 2^32 약 42억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한 사람당 여러개의 기기를 갖게 되어 IPV4의 주소 수가 부족해지자 이를 해결하고자 IPV6가 등장하게 되었다.


- IPV6

IPV6는 16비트씩 8자리로 표기되며, ':' 으로 각각의 마디가 구분된다. 128비트의 체계를 가진 인터넷 프로토콜이며 2^128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현재는 IPV4와 IPV6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 패킷의 구조

패킷이란 네트워크에서 출발지와 목적지간에 라우팅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패킷의 구조는 버전, 헤더길이, 식별자, 오프셋, 체크섬 등 다양하고 복잡하다. 하지만 간단하게 본다면 보내는 사람의 IP주소, 받는 사람의 IP주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어있다.


- IP 프로토콜 한계

  • 비신뢰성

    데이터가 송수신될때 패킷이 분실 되어도 데이터가 정확하게 갔는지 확인하지 않는다.
    패킷의 전달 순서를 알 수 없다. 보내려는 데이터의 크기가 클 경우 패킷을 여러개 보내야 하는데, 이때 패킷의 전달 순서를 정하지 않기 때문에 도착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

  • 비연결성

    대상 서버가 패킷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인지(기기가 꺼져있거나 고장난경우) 알지 못하고 패킷을 보내야 한다.



해당 포스팅은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강의 보러가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