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송수신될때 패킷이 분실 되어도 데이터가 정확하게 갔는지 확인하지 않는다.패킷의 전달 순서를 알 수 없다. 보내려는 데이터의 크기가 클 경우 패킷을 여러개 보내야 하는데, 이때 패킷의 전달 순서를 정하지 않기 때문에 도착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대상 서버가 패킷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이란 각각의 계층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이다. > # TCP특징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며, 3 way handshake(가상연결)을 사용한다. 데이터 전달을 보증한다. -> 패킷이 누락되었는지 알 수 있다.
한 IP에서 게임, 화상통화, 웹브라우저 요청 등 한번에 여러개의 서버와 통신해야 할때 서버 측에서는 어떻게 특정 프로세스를 구분해서 응답해야 할까?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때 TCP/IP 패킷에는 출발지 IP, 목적지 IP, 출발지 PORT, 목적지 PORT등 여러개의
DNS(Domain Name System)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이다. DNS는 전화번호부와 같다. IP가 전화번호라면 DNS는 IP 대신에 쓸 수 있는 이름이다. DNS는 요청받은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고, 변환시켜줄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