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ack dev server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리로드가 되는 웹팩의 개발 서버이다.
매번 웹팩 명령어를 사용할 필요없이 코드의 변경사항을 감지해 브라우저에 반영해준다.
npm i -D webpack-dev-server
여기서 key값인 dev는 다른것으로 교체해도 상관없다.
// package.json
"scripts": {
  "dev": "webpack-dev-server",
  "build": "webpack"
}
// webpack-config.js
// 포트,proxy서버 등등 설정가능
module.exports={
devServer:{
  port:9000,
  proxy: {
      '/api': 'http://localhost:3000'
  }
 }
}
| 속성명 | description | CLI | 
|---|---|---|
| host | 사용될 호스트 지정 | webpack-dev-server –host 127.0.0.1 | 
| contentBase | 콘텐츠를 제공할 경로지정 (정적파일을 제공하려는 경우에만 필요) | webpack-dev-server –content-base /path/to/content/dir | 
| compress | 모든 항목에 대해 gzip압축 사용 | webpack-dev-server –compress | 
| hot | webpack의 HMR 기능 활성화 | |
| inline | inline 모드 활성화 | webpack-dev-server –inline=true | 
| port | 접속 포트 설정 | webpack-dev-server –port 9000 | 
| open | dev server 구동 후 브라우저 열기 | webpack-dev-server –op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