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 구민정
sk si, 해외 디지털노마드, 프리랜서, 스타트업, 창업시도
Q. 포트폴리오란?
A. 정의된게 없다. 노션, 깃허브가 많다. ppt는 일부.
진짜 나를 보여주기 좋은 도구. 가장 그 사람 다운 것.
회사가 나에대해 알고 싶은 것
1. 실력
2. 캐릭터, 성향
3. 소통 능력
이해시키는 것.
회사가 원하는 포트폴리오
1. 실력이 보이는
2. 이해가 잘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좋아보이는)
3. 개인의 성향이 보이는 (열심히 하고 잘 따라오는)
그런거 어떻게 만들어?
ppt, 문서, 노션, 깃허브, 개발 블로그, 웹사이트
나한테 잘 맞는 툴을 골라라.
강점 드러내고 단점 숨기자.
개발력 좋으면 - 깃허브, 개발 블로그
웹사이트 만들 수 있거나 신선하면 - 웹사이트
둘 다 아니거나 잘 모르면 - 노션
글쓰는거 좋으면 - 블로그, 노션
기본은 - 노션
key function
기술과 기능에 초점 맞춰 적기
ex. fire auth를 활용한 이메일 가입 기능 구현
TroubleShooting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이유도 가능.
ex. 팀원의 이탈, 많아진 요구사항, 부족한 시간, 디자이너의 부재, 어떤 기술을 도입할까(React Next.js 도입 고민,MariaDB vs MySQL 도입 고민)
일한 경험은 3개 이하면 적기, 5개면 3개 강조 2개 연하게, 5개 초과면 지우기.
기술 스텍은 분류해서 적기
표지사진 변경하기
미리디자인에서 목업디자인 찾기
메인 - 템플릿 - 유튜브 섬네일, 모바일
강조하고 싶은 프로젝트는 펼쳐두기
내 프로필 꾸미기
포트폴리오 구성
업데이트 내역 적는 것도 추천.
gif 쓰면 센스있음
일단 노션에 만들고 옮기는 것 추천.
free web portfolio template, github page, github 웹 호스팅 써보기
차별점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 설명 공통 구조
1. 프로젝트 이름 / 서비스 설명 1-5줄
2. 스크린 샷
3. 기술 스택
4.
이것만 기억해라!
1. 나 다움을 보여주자.
2. 종류가 많으니 잘 맞는거 고르자.
3. 기본 템플릿은 채워보자.
준비물 : 뻔뻔함
...
무료 유형검사 많다.
mbti, 애니어그램, 개발자 유형 등등
거기서 좋은 말 따오기.
채용 사이트의 자격요건, 우대사항에 좋은 문장이 많다.
가볍게 쓰기 - 나열
정확히 쓰기 - 분류해서 적기
채용 사이트 참고해서 쓰면 좋다.
ex. wanted
내 수준을 별점화 (신입 한정)
또는 노션 표 사용
기술 스택을 상세하게 적을 수도 있음. (적을 때 추천)
앞의 복습.
똑똑하게 보이는 방법
기능을 좀 더 친절하게 쓰기
더 말로 풀어서 설명하자.
포트폴리오, 이것만 기억하세요.
1. 채용 사이트와 성격 테스트 활용, 나를 멋지게 표현하자.
2. 기술스택은 정확히 쓰고 분류하자.
3. 프로젝트 설명에 똑똑함을 드러내자.
회사가 기술 면접을 통해 알고싶은 것
당황하지 말고 익숙해져라.
캐치 사용하기.
지원자 많은 회사
이렇게 정리하고 말하기.
기술력이 높은 회사
깊게 들어간다...
전공서적 보고 공부하자..
경력으로 가기 더 쉽다..ㅎㅎ
벨로그 봐봐
제일 중요해!
100퍼 나와
프로젝트 설명, 소개 잘하기, 잘한 것과 잘못된 것은?
가장 기억에 남은 것, 최근 프로젝트 설명하고 어려운 점, 보람찬 점 말하기.
여러 프로젝트 준비하기.
기싸움에서 이기자. 당당!
어려움 - 트러블슈팅
팀분위기, 커뮤니케이션 등은 옵션
신입 때는 토이프로젝트 본다.
사실 거의 신입은 다 토이 프로젝트...
회사용 대외비 프로젝트는 쓰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