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사항 Amazon Linux 1에서 Dotnet runtime을 설치하는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명령어로 패키지 추가하기 (Amazon Linux 1은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기반) 이하 명령어로 dotnetcore r
Develop환경은 Windows고 Release환경은 Linux이다보니 BasePath/ContentRoot를 찾는데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그 중 릴리즈 환경(Release/Linux)에서 500 에러(Failed to load resource : the server
Load Balancer를 사용한다면, ForwardedFor 된 IP는 Client IP가 아니고, Load Balancer의 Private IP (172.따위로 시작하는)를 가져와 버리게 된다.
node.js 같은 서버로서의 작동이 아닌, create-react-app으로는 현재 기준 crypto 기능을 사용하기 쉽지 않다.하기와 같은 이유로, crypto 기능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reate-react-app이 아닌, webpack/parcel으로 처음부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때의 오류 해결법이다.Module not found: Error: Can't resolve 'crypto' in '~\\node_modules\\encrypt-rsa\\build'BREAKING CHANGE: webpack < 5 use
Entity Framework에서 EnsureCreatedAsync(); 중에 정체를 알 수 없는 InvalidCastingException이 발생하여 이에 관하여 기재한다.
AWS Linux Instance에서 Mysql-Server를 설치하고, 그것을 DBeaver로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재한다.
Ubuntu에서 mysql-server를 설치하여 구축할 때 발생하는 문제인 InnoDB: Cannot allocate memory for the buffer pool 에 대한 문제 해결법 및 이모저모
AWS 공식 문서를 통하여 AWS Region 및 Availability Zone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AWS Elastic Balancer에 대해 이해해본다. > Amazon EC2는 세계 각지의 여러 곳에서 호스팅 되고 있습니다. 이 위치는 다음
현재 문제 해결 중Debug때는 문제가 없었으나, 릴리즈 후 상기 디렉토리 Exception이 발생한 문제.다음과 같은 정보가 있다.
네임서버가 AWS로 되어 있는 경우 DNS 제공자의 DNS Record 설정은 의미 없다.AWS Lightsail의 Record 설정을 수정해야 한다.
다음 사이트를 참고하며 SQL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DB를 다루는 방법인 StoredProcedure에 대하여 알아본다.
ASP.Net 구축 중 React 옵션인 dotnet new react를 하게 되면 나오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분석해본다. 참고) 권장되는 방식이 아님
dotnet으로 된 프로그램을 nohup이나 systemd를 사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그리고 터미널을 종료하더라도 구동할 수 있게 한다.
현재 같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곳이 많으며,다음 링크등에서 언급되고 있다.Ios 15.4+ 버전에서 Unity Webgl빌드가 구동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