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속해 있는 프로젝트는 여러 사업자들을 유저로 생각하고 그들의 온라인 판매 상품등록, 재고관리, 배송정보 및 결제정보 관리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중에 있다.
하지만 이들이, 대한민국에서 유효하고 건전한 사업자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간단하게
node
와axios
를 이용하여사업자번호
를 인자로 받아 조회해볼수 있는 유틸을 개발해봤습니다. 유틸 이름은BRN-checker
로 했습니다.모든 유저들은
온라인 판매자
들이며, 이들은통신판매업 신고
를 해야한다.
Node.js
Axios
사업자 분
들이 유저이다.사업자번호
를 받으면, BRN-checker
를 통해 조회한다.국세청 사이트, Hometex에 접속하면 누구나 사업자번호의 휴폐업 상태를 조회 할 수 있다. 조회/발급
메뉴에서 중앙 아래쪽에 사업자 상태
>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
옵션에 들어가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
사업자번호
를 입력하고 > 조회하기
를 클릭하면 > 아래에 사업자등록상태
결과가 보여집니다.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 시 "사업자등록상태" 내용은 사업자의 과세유형(일반/간이 등)과 사업자상태(계속/휴업/폐업)를 보여줍니다.
(단, 국세청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업자번호인 경우 "사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표시됨.)
☞ 계속사업자 예시 :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입니다.
☞ 폐업사업자 예시 : 폐업자 (과세유형: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폐업일자:2013-01-01) 입니다.
이 오픈 서비스를 보자마자 불길한 느낌이 들었다... Selenium이나, Puppeter같은걸 사용해서 브라우저 띄우고 엘리먼트 찾고 클릭, 클릭, 클롤링 해야... 하나?
이런 작업을 안하는 방법을 바라면서 검색중 같은 생각으로 이 유틸을 여러 언어로 구현하신 분이 계셔서 적극활용해서 직접 만들었다. (Medium, 사업자등록상태조회 프로그램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