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한 원소들을 비교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큰 값(또는 작은 값)이 배열을 통해 버블(거품)처럼 서서히 상단(또는 하단)으로 이동하며 정렬한다.
💡 특징
def bubble_sort(arr):
n = len(arr)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0, n-i-1):
if arr[j] > arr[j+1]:
arr[j], arr[j+1] = arr[j+1], arr[j]
return arr
# 예시 배열
arr = [64, 34, 25, 12, 22, 11, 90]
bubble_sort(arr)
print("Sorted array is:", arr)
전체 배열을 순회하며 각 위치에 올바른 값을 찾아서 배치하는 방식이다.
💡 특징
def selection_sort(arr):
n = len(arr)
for i in range(n):
min_idx = i
for j in range(i+1, n):
if arr[j] < arr[min_idx]:
min_idx = j
arr[i], arr[min_idx] = arr[min_idx], arr[i]
return arr
각 반복에서 하나의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한다. 이미 정렬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부분으로 배열을 나누고, 정렬되지 않은 부분의 각 요소를 차례대로 이미 정렬된 부분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특징
def insertion_sort(arr):
for i in range(1, len(arr)):
key = arr[i]
j = i-1
while j >= 0 and key < arr[j]:
arr[j + 1] = arr[j]
j -= 1
arr[j + 1] = key
# 예시 배열
arr = [12, 11, 13, 5, 6]
insertion_sort(arr)
print("정렬된 배열:", a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