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learning based brain tumor segmentation: a survey 논문 리뷰

그녕·2024년 1월 24일
0

AI

목록 보기
5/32

Brain tumor segmentation

뇌 종양 부분에 정확한 경계를 생성 하는 것
위치, 형태 불확실성, 낮은 대조 영상, 데이터 불균형의 문제가 있음

글리오마(Glioma)- 글리아(glial) 세포에서 기원한 뇌종양
MRI 사용

한개 이상의 이미지 modality의 입력 이미지-> 종양부분을 자동으로 분할->segmentation map 반환

  • gadolinium enhancing tumor-조영제 투여하여 찍힌 종양
  • pertumoral edema-종양 주위의 부종
  • non-enhancing tumor core-조영제 투여 안하여 찍힌 종양의 core

이 survey 논문은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강조, 불균형 조건에서의 분할 및 다중 모달리티에서의 학습과 같은 다른 중요한 학습 전략은 언급하지 안함

Background

Challenges

  1. 위치 불확실성 - 글리오마는 신경세포를 둘러싼 점액 세포에서 변이되므로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어렵다.
  2. 형태 불확실성 - 다양한 뇌종양의 모양 및 크기와 같은 형태학적 특성은 큰 불확실성, 종양의 바깥 층은 유체 구조
  3. 낮은 대비 - image projection and tomography process으로 인해 mri 이미지가 품질과대비가 낮음
  4. 주석 편향(Annonatation bias) - 개인의 경험에 의존성이 커서 데이터 라벨링 과정중에 주석을 다는 것이 편향될 수 있음
  5. 불균형 문제

    서로 다른 종양 영역에는 불균형한 수의 복셀

Progress

  • 90년대 후반 - Hopfield Neural Network with active contours를 사용하여 종양 경계를 추출하고 종양 영역을 팽창

  • 그 이후 - 전통적인 기계 학습 알고리즘 사용, 한계 있음

  1. 전체 종양 영역의 분할에만 중점을 둬서 분할 결과에는 하나의 범주만 존재
  2. 수동으로 설계된 feature engineering은 사전 지식에 의해 제한되어 완전히 일반화 불가능 3. 모양 불확실성과 데이터 불균형과 같은 어려움에 대응하지 못함
  • 2012년 이후부터 - deep neural network를 사용해서 DCNN, FCN, U-Net 구축

  • 2017년 이후부터 - data imbalance문제 극복하려고 많은 시도를 함

  • 최근 연구 - modality fusion과 modality 누락 처리에 중점

Designing effective segmentation networks

  • designing effective modules: 1. high level semantic을 학습하고 타겟 localize하기, 2. 네트워크 매개변수 양을 줄여서 train 속도를 높여 계산 시간과 자원을 절약하는 것
  • designing network architecture: simple-channel network->multi-channel network, fully connected layers->fully convolutional network, simple network-> deep cascaded network로 (feature learning 능력 향상, 더 정확하게 분할 하기 위해)

Designing specialized modules

  1. Modules for higher accuracy
  • AlexNet 같은 구조를 쓰다가 convolutional block을 쌓으면서 네트워크의 깊이를 늘리는 방식 (convolutional layer을 많이 쌓으면 파라미터를 늘리게 되고 세부 정보를 잘 포착)
    커널의 크기를 5이상 -> 3으로 줄임 or 다양한 크기의 커널 사용
    문제 = 쌓은 레이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가 깊어지면 훈련 과정에서 gradient explosion, vanishing 문제-찾아보기!!!
  • Resnet- residual connection을 도입 (컨볼루션 모듈의 입력을 출력에 추가하여 gradient 문제를 해결)
    문제 = 공간 해상도가 낮은 문제 있음
    +DenseNet- residual connection-> dense connection으로 (계산 메모리를 많이 쓰는 단점 있음)
  • standard convolutional layer-> dilated convolutional layer로 바꿈
    장점: 1. 추가 parameter를 도입하지 않고 수용 영역을 확장, 2. 공간 해상도 손실 줄임

따라서 분할 할 객체의 위치를 원래 입력 공간에서 정확하게 localization 가능
but 작은 구조물의 잘못된 위치 및 분할 문제는 아직 해결되어야 함
=> multi-scale 팽창 convolution 또는 atrous 공간 피라미드 풀링 모듈을 설계하여 객체의 세세한 세부 사항을 묘사하는 semantic 컨텍스트를 캡처하도록 제안

  1. Modules for efficient computation
    복잡한 모듈을 설계하면 정확한 세그멘테이션을 달성할 수 있지만, 계산 자원 많이 필요, 학습 시간이 김 => 모듈 설계에서 light weight idea를 생각함
  • 입력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6도 회전된 데이터 샘플) 시각적 유사성이 높은 샘플이 메모리에서 더 가까이 배치해서 I/O 통신을 가속화 시도.

  • 입력 데이터를 다루는 대신에 계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다운샘플링 채널이 감소된 U-Net 변형함
    => 이 두 방법은 계산자원이 줄었지만, 학습 정보를 잃고 정확도 감소함

  • U-Net에 reversible block 추가 -> 가역 블록을 사용하면 역전파 중에 필요한 정보를 직전 레이어의 출력에서 직접 가져와 사용하기 때문에 중간 결과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음, 메모리 줄어듦

  • MBConvBlock(Mobile Reversible Convolution Block)-가역 블록을 더 확장

Designing effective architectures

  1. Multi-path architecture
    다중 경로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규모의 다양한 경로에서 다른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음
    large scale path= global 특징을 잘 학습, small scale path = local 특징을 잘 학습
  • Havaei - 다양한 kernel 사이즈 사용, local pathway:7x7 convolutional kernel, global pathway:13x13 kernel

  • Castillo - 다양한 patch 사이즈 사용, 3 pathway CNN- low (15 × 15), medium(17 × 17), normal (27 × 27) resolutions

  • Kamnitsas - 입력에서 patch의 다른 사이즈를 고려하는 이중 경로 network 사용
    =>최근에는 multi-scale CNN 추세

  1. Encoder–decoder architecture
    patch로만 매핑을 정확하게 하는건 어려움
    문제 1. 단일 및 다중 경로 네트워크의 세그멘테이션 성능은 입력 패치의 크기와 품질에 영향 많이 받음 2. 특징-레이블 매핑은 대부분 마지막 fully connected layer에 의해 수행, fully connected layer는 특징을 완전히 표현 불가능, 비용 증가
    => 최근에는 encoder-decoder network 사용
  • Jesson - multi scale loss function을 사용해서 standard FCN 확장함
    FCN의 한계: 레이블 도메인의 컨텍스트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하지 않음

  • boundary aware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목표: 전체 종양의 경계 정보를 이진 분류 문제로 학습하고 모델링하는 것

  • U-Net - FCN의 중요한 변형, 특징을 캡처하기 위한 수축 경로와 정확한 localization을 가능하게 하는 대칭 확장 경로로 구성
    장점: 전통적인 FCN에 비해 수축 및 확장 경로 간의 skip connection (skip connection은 수축 경로-> 확장 경로로 특징 맵을 전달하고 두 경로의 특징 맵을 직접 연결, 원래 이미지 데이터는 수축 경로의 레이어에 세부 정보를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줌)

  • V-Net - 수정된 3D 버전의 U-Net, 원래 볼륨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customized Dice coefficient 손실 함수 사용

Segmentation under imbalanced condition

불균형 -> 뇌 종양의 하위 영역의 픽셀 수, 환자 샘플 수 (HGG (High-Grade Glioma: 빠르게 성장하는 치명적인 악성 종양) 사례의 수가 LGG (Low-Grade Glioma: 느리게 성장하는 덜 악성 종양) 사례보다 훨씬 많음)
전문가들에 의해 도입된 레이블 편향도 존재

Multi-network driven approaches

Multi-network system은 두가지로 나뉨
1. Network cascade

  • 정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상류 (upstream) 네트워크의 출력이 하류 (downstream) 네트워크로 입력으로 전달되는 것
  • 구조: 특징을 추출하는 상류 네트워크, 입력을 세분화하고 미세 구분 분할하는 하류 네트워크
  • 예시: WNet->TNet->ENet
    Whole Tumor를 분할하는 WNet이 Whole Tumor의 segmentation 결과를 TNet에 전달하고, TNet은 Tumor Core를 분할, TNet의 세그멘테이션 결과는 Enhancing Tumor의 세그멘테이션을 위해 ENet에 전달
    한계: 불균형 데이터로 인한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류 네트워크의 성능에 많이 의존함. 상류 결과를 하류의 입력으로 쓰여서 다른 이미지 영역을 보조 정보로 사용할 수 없어 종양 위치 감지와 같은 다른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1. Network ensemble
  • 기존 single deep neural network의 단점: 성능이 hyperparameter 선택에 매우 영향을 받는다는 것
  • 정의: 여러 네트워크의 세그멘테이션 출력을 합치는 것
  • 장점: 여러 네트워크를 합칠때 훈련할 매개변수의 가설 공간을 확장하고 (여러 모델의 함수를 고려할 수 있어 더 견고함) 데이터 불균형으로 인한 성능 저하도 개선 가능
  • 예시: Ensembles of multiple models and architectures (EMMA)- DeepMedic, FCN, U-Net의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앙상블하고 최종 세그멘테이션을 가장 높은 신뢰 점수로 결과 나타냄

=> ensemble은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결과를 집계하여 최종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스팅 전략, BraTS2018 우승자는 10개의 모델을 앙상블하여 최고의 단일 네트워크 세그멘테이션과 비교하여 성능을 1%를 추가로 향상함

Multi-task driven approaches

  • 기존 단일 작업 학습의 단점: 단일 작업의 train 목표가 어떤 task에서의 잠재적 정보를 무시할 수 있음
  • 주요 설정: 여러 task 간에 공유될 수 있는 low level feature 표현
  • 장점: 1. 서로 관련된 도메인 정보를 공유하여 학습을 촉진, 업데이트된 정보를 잘 획득 2. mutual restraint(상호 제한성)-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학습하는 모델은 더 일반적인 표현을 학습하여 overfitting의 위험을 줄이고 시스템의 일반화 능력 향상
  • 예시: 1. brain tumor segmentation task를 3가지 sub-region task로 나눠서 학습, 3가지의 다른 loss 함수 사용하는 방식 2. 입력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 인코딩된 특성은 보조 디코더를 사용하여 원래 입력으로 복원 가능

Customized loss function driven approaches

  • 기존 단점: 많이 imbalance한 데이터 셋에서는 학습중의 기울기가 dominate한 경우(=적은 클래스에 대한 기울기가 반영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customized loss function(사용자 정의 손실 함수)를 제안함
  • 예시: 1. 손실 함수를 살짝 바꿔 가장자리 픽셀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함, 2. 학습된 특성이 공간 정보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간 손실 함수를 설계함, 3. 균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focal 손실을 사용함, 이 외에도 combination loss set (cross-entropy + soft dice loss) 사용

Utilizing multi modality information

MRI의 다양한 modality는 각기 다른 조직에 중점을 둠
사용 가능한 모달리티의 완전성에 대해 2가지로 나뉠수 있음

Learning with multiple modalities

Brats challenge에는 다중 모달리티 세트로 T1, T1ce, T2 및 Flair과 같은 입력 데이터 모달리티를 포함
다중 모달리티 학습 방법의 목적은 3가지로 나뉨
1. Learning to Rank-관련성에 따라 정렬되어 높은 관련성을 가진 모달리티를 학습 하는 것, modality-task modeling으로도 불림, 각 모달리티를 단일 CNN으로 변환해서 추출 결과도 독립적, 최종 반환된 손실은 입력 데이터의 scoring과 유사하며 스코어에 따라 세그멘테이션이 수행
2. Learning to Pair- modality-modality pairing: 모든 두 모달리티를 페어링하고 모든 페어링 조합을 다운스트림 네트워크로 보냄, 정확한 세그멘테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최적의 조합을 선택
3. Learning to Fuse- 최근 연구들은 fuse에 집중, 앞선 두개와 다르게 정확한 세그멘테이션을 위해 각 모달리티에서 추출된 feature를 fuse, 공간 및 채널 attention을 기반으로 한 퓨전 모듈을 사용, attention 메커니즘은 유용한 feature를 강조하고 중복되는 feature를 억제하여 정확한 segmentation함

Dealing with missing modalities

실제로는 완전하고 고품질의 다중 모달리티 데이터셋을 획득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음

  • T1 모달리티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Flair 모달리티를 생성, 생성된 Flair 데이터는 원래 T1 데이터와 함께 downstream segmentation 네트워크에 전달
  • 단일 모달리티 입력의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강도 보정 알고리즘 제안. 이를 통해 합성 데이터에서 종양 및 비종양 영역을 분할 더 쉬움
  1. Self, weak and semi-supervised training with fewer labels
  2. Neural architecture search based segmentation-도메인 지식 (종양 정도, 종양 형태)을 신경 아키텍처 검색 알고리즘과 결합
  3. Protect patient’s privacy-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 정보 보호 학습 framework
profile
AI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