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데이터ex)cctv, 통화내용, 구글\-그러다보니 자동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무한히" 누적 생성\-생성하는 장비에 따라 형태가 천차만별빅데이터란 "큰 데이터"가 아니라 "커질 데이터"다.iot -> 중간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형
프로그램이란\-특정 목적(필수)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해야 하는 단위 작업(더 쪼개면 의미가 사라지는 ex)신랑을 반만 입장시킬 수는 없다)을 시간의 순으로 배열할 것.ex)웨딩 프로그램 - 신랑입장(단위작업) 이후 신부입장(단위작업) 시간순으로 배열 단위작업을 어떻게
프로그램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이유는????먼저 프로그래밍을 위해 배워야하는 4가지1\. 변수 사용 : 선언, 종류, 사용2\. 순환 및 분기 : for, while, switch, if3\. 함수의 선언 및 활용4\. 데이터베이스에 자료 저장/꺼내기1.변수의 선언, 종
-변수 -함수 -순환 및 분기 -데이터 다루기(DB) **변수의 의미 ->변수의 타입?????????? 1) 기본형 2) 사용자 정의형 1) 기본형 근데 왜 기본?? 0 1 0 0 0 0 0 1 -> 1. True/False 관점 : bool -> 2. 아스키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의 의미와 중요성변수는 입/출력 단위!!!!사용자 정의 자료형의 종류(문자 하나하나는 답답해)\-동일한 데이터를 여러개 모은 것 : 배열\-다른 형태(bool,char,int)의 데이터를 여러개 모은 것 : 구조체\-다른형태의 데이터에 연관된 함수까지
프로그램에서 변수의 타입\-기본자료형\-사용자정의 자료형 : 배열(동일형 변수 많이), 구조체(동일형, 다른형 변수 많이), 클래스(구조체 + 함수)student(클래스) s1(객체) << 인스턴스화 되었다!!왜 변수가 아니라 객체?? \-구조체가 아
클래스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의 해결방안1) 캡슐화(encapaulation)2) 상속(inheritance)3) 다형성(polymorphism)1) 캡슐화클래스 = 데이터 + 함수 -> 함수는 몰라도 데이터는 함부로 바뀌면 안돼private\~\~~3) 다형성오버로
포인터, 변수, 객체의 개념 정리변수의 개념\-변수는 메모리의 특정 부분을 지칭하기 위하여 도입된 개념기본자료형 : 숫자, bool, 문자사용자정의 자료형 : 배열, 구조체, 클래스데이터 : 변수데이터 + 함수 : 객체메모리의 특정 위치 주소 : 포인터int a = 1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구조적 프로그램\-정보공학 프로그램\-객체지향 프로그램\-CBD, 함수형 프로그램구조적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인간이 읽기 쉽게 만들고자 하는 노력에서 개발된 것.(함수를 사용하고, goto문을 쓰지 않는다.)구조적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한
\-상속, 인터페이스, 추상클래스:클래스/객체, 상속, 캡슐화, 다형성\-만드는법, 주의사항\-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정의와 bad smell\-객체지향 프로그램의 5원칙:SRP, OCP, LSP, ISP, DIPcat extended Feline implement P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