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의 기초 문법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print
를 이용하여 화면에 값을 출력할 수 있다.>>> print("안녕, 세계!")
안녕, 세계!
status = "Newbie"
def python_indent():
if status == "Newbie":
print("파이썬은 들여쓰기로 영역을 지정합니다.")
elif status != "Newbie":
print("파이썬이 들여쓰기로 영역을 지정하는 건 알고 계시죠?")
else:
print("안녕, 세계!")
print("안녕, 세계!")
에서 파이썬의 print 함수에 "안녕, 세계!"를 출력하라고 시켰는데print("안녕, 세계!")
에서 "안녕, 세계!" 부분이 string이다.>>> greeting = "안녕, 세계!"
>>> print(greeting)
안녕, 세계!
>>> # 숫자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sum = bmw5 + k5
>>> print(sum)
8716
숫자에 + 연산을 수행하면 그 더해진 값을 얻을 수 있다.
>>> # 문자 연산
>>> bmw5 = "burning "
>>> k5 = "science"
>>> sum = bmw5 + k5
>>> print(sum)
burning science
문자열에 + 연산을 수행하면 문자열이 합쳐진다.
+
를 사용한다.>>> # 숫자 더하기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sum = bmw5 + k5
>>> print(sum)
8716
-
를 사용한다.>>> # 숫자 빼기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subtraction = bmw5 - k5
>>> print(subtraction)
4004
*
를 사용한다.>>> # 숫자 곱하기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multiplication = bmw5 * k5
>>> print(multiplication)
14984160
/
를 사용한다.>>> # 숫자 나누기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division = bmw5 / k5
>>> print(division)
2.699490662139219
%
를 사용하면 된다.# 숫자 나머지 연산
>>> bmw5 = 6360
>>> k5 = 2356
>>> remainder = bmw5 % k5
>>> print(remainder)
1648
//
를 사용하면 된다.# 정수 나누기 연산(나머지 없이 몫만 리턴)
bmw5 = 6360
k5 = 2356
hosigi = 2.1
remainder = bmw5 % k5
chikens = 2 * (remainder // hosigi)
print(chikens)
1568.0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a = 10
>>> b = 2
>>> square = a ** b
>>> print(square)
100
>>> a = 10
>>> a = a + 1
>>> print(a)
11
파이썬은 위의 간단한 코드를 더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a = 10
>>> a += 1
>>> print(a)
11
>>> a = 10
>>> a = a + 1
>>> print(a)
11
위의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 a = 10
>>> a += 1
>>> print(a)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