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하는 sort 정렬은 (a,b) => a-b 의 경우 오름차순 => b-a은 내림차순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 때 난 이해를 위해 숫자를 넣어 생각해봤다.
예를 들어 345 의 경우 3-5 =2 양수의 결과 값일 때 오름차순. 5-3= -2 로 음수의 값이라 내림차순으로.. 생각을 했다..
function solution(strings, n) {
var answer = strings.sort((a,b) => {
if (a[n] > b[n]) {
return 1
}
if (a[n] < b[n]) {
return -1
}
if (a[n] === b[n]) {
if (a>b) {
return 1
} if (a<b) {
return -1
} return 0
}
})
return answer;
}
이 두 코드의 차이점이 뭐지..?
내용 바꾼거 없이 띄어쓰기만 했는데 오답이 정답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