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코딩클럽]안드로이드 앱개발 기초반-1주차

안드로이드 앱의 동작 개념
1. 앱을 설치하는 경우
- 안드로이드는 컴퓨터 실행파일과 달리 .exe 대신
.apk
파일을 사용한다.
- APK는 Android Application Package의 약자로 안드로이드 앱의 모든 컨텐츠가 들어 있는 파일이다.
-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이용해 Android 앱을 만들기 위해서는
Android SDK
를 이용해 모든 데이터 및 리소스와 함께 코드를 컴파일하여 하나의 APK를 만들어야 한다.
2. 앱을 실행하는 경우
- apk 안에는
사용설명서의 역할
을 하는 Manifest file
이 들어 있는데,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Manifest file을 읽고 파일 안에 있는 내용대로 동작을 시작한다.
- Manifest file에는
앱에서 사용하는 화면
, 앱이 요구하는 권한
, 앱에 필요한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3. 앱을 표시하는 경우
- 화면 정보는
액티비티(Activity)
에 담겨 있다. 즉, 액티비티는 화면!
- 액티비티를 이용해 앱의
화면을 표시
하고 동작을 정의
할 수 있다.
화면의 표시
는 앱 리소스
를 이용한다. 앱 리소스에는 레이아웃, 이미지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 화면에 표시된 UI가 동작하기 위해선
동작 정보
를 줘야 하는데 이런 정보는 앱 컴포넌트(App Component)
에 들어 있다.
프로젝트 구성
1. AndroidManifest.xml
- 사용설명서의 역할을 하는
Manifest file
이다.
- 위치는
app > manifests > AndroidManifest.xml
이다.
2. MainActivity
화면 정보
가 들어 있는 파일이다.
- 위치는
app > java > 패키지명 > MainActivity
이다.
3. activity_main.xml
- 화면에 보여지는 정보는
레이아웃 파일
에 들어 있는데 이런 레이아웃 파일은 앱 리소스 중 하나
이다.
app > res 디렉토리
가 바로 앱 리소스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이다.
- layout 디렉토리에 들어 있는 xml 파일은 주로 액티비티의 UI 레이아웃을 정의한다.
- res 디렉토리안에는 layout 이외에도
drawable
, mipmap
, values
등 다양한 디렉토리가 존재한다.
4. build.gradle
- build.gradle 파일에는 앱을 apk로 빌드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 있다.
- build.gradle 파일에는
프로젝트용(Project: [이름])
과 앱 모듈용(Module: [이름].app)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