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foo() {
x = 10; // 암묵적 전역으로 인해
}
foo();
console.log(x); // 해당 결과가 10으로 나온다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strict Mode(엄격모드)가 ES5부터 추가 되었다.
EsLint 도구는 strict mode가 제한한 오류 + 코딩 컨벤션까지 설정 가능하기에 추천한다
'use strict' // 해당 부분 적용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전역 변수를 최소화 하고 그 안에서 엄격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function () {
'use strict';
// ...
}());
엄격 모드에서 함수를 일반 함수로 호출하면 this에 undefined가 반환된다. 생성자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
엄격 모드에서 매개변수에 전달된 인수를 재할당하여 변경해도 arguements 객체에 반영되지 않는다.
js 는 Object, String, Number 등 40여 개의 표준 빌트인 객체를 제공한다.
Math, Reflect, JSON 을 제 외한 표준 빌트인 객체는 모두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이다.
문자열,숫자,불리언 등의 원시값이 있는데도 해당 되는 객체를 생성하는 표준 빌트인 객체가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const str = "str";
console.log(str.length);
console.log(str.toUpperCase());
해당 예제를 보면 원시값임에도 객체처럼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js는 원시값에 마침표 표기법(또는 대괄호)으로 접근하면 일시적으로 원시값에 연관된 객체로 변환해 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원시값에 대해 객체처럼 접근하면 생성되는 임시 객체를 래퍼 객체라 한다.
// 1 식별자 str은 문자열을 값으로 가지고 있으
const str = "hello";
// 2 식별자 str은 암묵적으로 생성된 래퍼 객체를 가리킨다
// 식별자 str의 값 'hello'는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다
// 래퍼 객체에 name 프로퍼티가 동적으로 추가 된다.
str.name = "Lee";
// 3. 식별자 str은 다시 원래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 값을 갖는다
// 이때 2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 4. str은 새롭게 암묵적으로 생성된(2번에서 생성된 래퍼객체와는 다른) 래퍼 객체를 가리킨다
// 새롭게 생성된 래퍼 객체에는 name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console.log(str.name);// undefined
// 5. 식별자 str은 다시 원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갖는다
// 이때 4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기에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console.log(typeof str, str);
해당 객체는 코드가 실행되기 이전 단계에 js 엔진에 의해 어떤 객체보다도 먼저 생성되는 특수한 객체이고, 어떤 객체에도 속하지 않은 최상위 객체다.
globalThis
ES11에서 도입되었다. 브라우저환경과 Node 환경에서 전역 객체를 가리키던 다양한 식별자를 통일한 식별자 이다.
// 브라우저 환경
globalThis === this,window,self,frames // true
// Node.js 12.0.0 이상
globalThis === this,global // true
특징
function foo(){
y = 20; // 암묵적 전역
}
console.log(y); // 20
delete y;// 전역 프로퍼티는 삭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