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그림과 같이 지뢰가 있는 지역과 지뢰에 인접한 위, 아래, 좌, 우 대각선 칸을 모두 위험지역으로 분류합니다.
지뢰는 2차원 배열 board에 1로 표시되어 있고 board에는 지뢰가 매설 된 지역 1과, 지뢰가 없는 지역 0만 존재합니다.
지뢰가 매설된 지역의 지도 boa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안전한 지역의 칸 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board | result |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 16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 13 |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3, 2)에 지뢰가 있으므로 지뢰가 있는 지역과 지뢰와 인접한 위, 아래, 좌, 우, 대각선 총 8칸은 위험지역입니다. 따라서 16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3, 2), (3, 3)에 지뢰가 있으므로 지뢰가 있는 지역과 지뢰와 인접한 위, 아래, 좌, 우, 대각선은 위험지역입니다. 따라서 위험지역을 제외한 칸 수 13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3
모든 지역에 지뢰가 있으므로 안전지역은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합니다.
function solution(board) {
for (let i = 0; i < board.length; i++) {
for (let j = 0; j < board[i].length; j++) {
if(board[i][j] === 1){
checkBombs(i, j, board);
}
}
}
return board.flat().filter(v => v === 0).length;
}
function checkBombs(i, j, board) {
for (let x = -1; x <= 1; x++) {
for (let y = -1; y <= 1; y++) {
checkBoardBounds(i+x, y+j, board);
}
}
}
function checkBoardBounds(xAxis, yAxis, board) {
if (xAxis >= 0 && xAxis < board.length && yAxis >= 0 && yAxis < board.length) {
checkIfNotBomb(xAxis, yAxis, board);
}
}
function checkIfNotBomb(xAxis, yAxis, board) {
if (board[xAxis][yAxis] !== 1) {
board[xAxis][yAxis] = 2;
}
}
중첩문이 너무 길어져서 함수를 뽑았다. depth가 너무 깊지 않게 줄였는데도 2차원 배열을 순회하다보면 자꾸 depth가 늘어나게 된다.
function solution(board) {
let outside = [[-1,0], [-1,-1], [-1,1], [0,-1],[0,1],[1,0], [1,-1], [1,1]];
let safezone = 0;
board.forEach((row, y, self) => row.forEach((it, x) => {
if (it === 1) return false;
return outside.some(([oy, ox]) => !!self[oy + y]?.[ox + x])
? false : safezone++;
}));
return safezone;
}
나는 겁나 어렵게 풀었는데~ 이분 코드는 참 깔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forEach문을 중첩시킴으로써 depth가 깊어지지 않도록 만들어 주었다. 2차원 배열을 검색할 때는 forEach문을 중첩하는 게 보기 깔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만약 1, 즉, 폭탄이 존재한다면 바로 리턴해주고 아니라면 some과 !!, optional chaining(?.)을 이용하여 이 바깥쪽 위치값이 배열에 존재하는지 확인해 준다.
찾아보니 some은 배열 안의 값이 주어진 함수를 하나라도 통과하는지 확인하는 메서드이고, !!은 값을 boolean 값으로 바꿔주는 것이다. 또한 optional chaining은 오류가 난다면 그 값을 undefined로 바꿔주기 때문에 !!와 결합하면 오류값을 false처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여 값이 false, 즉, 0일 때만 safezone의 값을 증가시켜 준다. 앞쪽의 false는 삼항 연산자를 만들기 위해 임의로 아무 값이나 리턴해 준 것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