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 개발을 하다보면 비동기 처리의 필요성을 깨닫는 순간이 온다. AsyncTask, Handler, RxJava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2024년 현재 기준 Coroutine 이 가장 효율적이고, 핫한 기술스택이기에 이에 대한 정리를 시작해보고자 한다.
코루틴의 특징
수천 개의 코루틴을 생성해도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콜백 지옥 없이 순차적인 코드 흐름으로 비동기 작업을 표현할 수 있다.
코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면서 복잡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코루틴은 비동기 작업을 쉽게 처리하기 위한 경량 스레드라고 생각 할 수 있다. 코틀린의 코루틴은 실제 스레드를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비동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복잡함을 줄이고, 코드가 동기적으로 실행되는 것 처럼 보이면서도 효율적인 비동기 작업을 가능하게 해준다.
코루틴을 사용할 땐 세가지 순서를 기억하자!
앞으로 context, scope, builder 에 관하여 자세히 공부하고, 동작 방식 및 실제 실무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해야 할지에 대해 계속 정리해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