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함을 망각한 시대에서 특별하게 살기

Yeongbeom Song·2024년 2월 7일
1
post-thumbnail

당연함이라는 언어에 뜻에 담긴 의미는 무엇이 있을까? 그 의미는 너무나 당연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다. 당연함의 사전적 정의는 "일의 앞뒤 사정을 놓고 볼 때 마땅히 그러하다."로 어떤 상황에서 교육을 받은 인간이라면 마땅히 해야하는 일이다.

우리 사회의 각각의 상황에서 우리 모두는 당연히 해야할 일인 당연함을 알고 있다. 하지만 당연함을 아는 것과 당연함을 실천하는 것은 정말 다른 일이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12년간의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당연함을 모두 알고 있다. 하지만 현실을 둘러보면 당연함을 실천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당연함을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가? 그렇가면 당연함의 예시를 몇가지 들어보겠다. "매일 해가 뜨는 시간 무렵에 일어나 해가 진 이후에 잠에 드는 것", "나에게 주어진 일을 성실히 수행하고 최선을 다하는 것", "옳고 그름, 좋고 싫음을 판단하고 명확히 표현하는 것" 등 수많은 예시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 주변 사람들은 이 당연함을 실천하고 있는가?

애석하게도 우리 주변 혹은 나를 돌아보기만 해도 당연함을 알고 있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상황을 정말 쉽게 찾을 수 있다. "밤과 낮이 바뀐 상태로 살아가는 사람들", "모든 일을 미루고 대충 하는 사람들", "자신의 감정을 모르고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들" 등 수많은 상황이 있다. 나 또한 때때로 이 당연함을 실천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연함은 오히려 당연하지 않음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항상 모든 상황에서 당연함을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때때로 유혹에 넘어가 실패하기도 하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거의 모든 상황에서 당연함을 실천할 수 있다. 그리고 거의 모든 상황에서 당연함을 실천한다면 이은 특별함으로 변한다. 하나의 당연함은 실천하기 쉽지만 여러 당연함은 실천하기 어렵고, 현대 사회에서는 이 당연함을 쉽게 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최초의 사람 속인 Homo habilis가 등장한 230만년 이전부터 근대가 시작된 100년 이전까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당연함이 매우 중요했다. 당연함은 사회적인 규칙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당연함을 실천해야 했다. 만약 당연함을 실천하지 않는 다면 그 사람은 사회에서 배척 당하거나 생존하기 위한 의식주를 얻지 못해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풍족한 의식주를 얻게 되었으며, 수많은 사회 안전망을 통해 사회는 사람을 쉽게 죽음에 이르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시로 현재 대한민국에는 당연함을 실천하지 않는 '은둔형 외톨이'들이 50만명이 넘었지만, 이들 중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사람은 많지 않다. 즉 당연함을 실천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는 세상으로 변화한 것이다.

현재 당연함을 실천하지 않아도 당신의 생명과 삶에는 큰 지장이 가지 않는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 하지만 당신이 꿈을 가지고 있고 성공을 원하고 있다면 당연함을 실천하는 것은 당신에게 매우 큰 이점을 가져다 준다.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고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며, 상황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만들어 갈 수 있다. 모든 당연함을 실천하고자 노력한다면 당신은 특별함을 가진 사람이 될 것이다.

나 또한 당연함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며, 거의 모든 상황에서 당연함을 실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나를 특별함을 가진 사람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당신이 특별함을 가진 사람이 되고 싶다면 모든 당연함을 실천하기 위해 먼저 노력해보자. 당연함은 당신을 특별함으로 만들어 줄 것이고 당신이 꿈꾸는 모든 것을 가져다 줄 것이다.

profile
짬통 개발자 & 창업가 블로그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2월 12일

글 잘 읽었습니다! 당연한 걸 하도록 노력해야 겠어요.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