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 사용 이유

그니·2019년 2월 4일
1

형태가 같은 Class를 선언할 때 서로 다른 Type 정의에 의해 복수의 Class를 정의하는것 보다,
제네릭을 통해 Class를 인스턴스화할 때 인자와 함께 Type을 넘겨줌으로써
하나의 Class로 복수의 Type을 처리할 수 있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generic;
class StudentInfo{
    public int grade;
    StudentInfo(int grade){ this.grade = grade; }
}
class StudentPerson{
    public StudentInfo info;
    StudentPerson(StudentInfo info){ this.info = info; }
}
class EmployeeInfo{
    public int rank;
    EmployeeInfo(int rank){ this.rank = rank; }
}
class EmployeePerson{
    public EmployeeInfo info;
    EmployeePerson(EmployeeInfo info){ this.info = info; }
}
public class Generic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Info si = new StudentInfo(2);
        StudentPerson sp = new StudentPerson(si);
        System.out.println(sp.info.grade); // 2
        EmployeeInfo ei = new EmployeeInfo(1);
        EmployeePerson ep = new EmployeePerson(ei);
        System.out.println(ep.info.rank); // 1
    }
}

위 코드를 보면 StudentPerson와 EmployeePerson은 형태가 같음에도 인자로 받는 인스턴스 객체의 Type이 다르다는 이유로 중복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제네릭을 통해 외부에서 클래스 인자의 Type을 정해줌으로써 중복을 제거했다. 👇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generic;
class StudentInfo{
    public int grade;
    StudentInfo(int grade){ this.grade = grade; }
}
class EmployeeInfo{
    public int rank;
    EmployeeInfo(int rank){ this.rank = rank; }
}
class Person<T>{
    public T info;
    Person(T info){ this.info = info; }
}
public class Generic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erson<EmployeeInfo> p1 = new Person<EmployeeInfo>(new EmployeeInfo(1));
        EmployeeInfo ei1 = p1.info;
        System.out.println(ei1.rank); // 성공
         
        Person<String> p2 = new Person<String>("부장");
        String ei2 = p2.info;
        System.out.println(ei2.rank); // 컴파일 실패
    }
}

1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