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탐욕법, Greedy Algorithm)이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을 말한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현재 조건을 선택했다면 다른 조건은 검증하지 않는다. 최적해는 보장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정당성 분석을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 코드로 바꾸는 과정알고리즘 대회에서 구현문제란?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피지컬을 요구하는 문제예시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

📚 스택 >먼저 들어 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형식(선입후출 FILO)의 자료구조 >입구와 출구가 동인한 형태로 스택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stl stack 이용 push(element) : top에 원소를 추가 pop() : top에 있는 원소를 삭제 top

📚 정렬 >정렬(Sorting)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제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정렬 알고리즘이 공식처럼 사용된다 정렬에는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계수 정렬 등등이 있다 📕 선택정렬 >데이터가 무

📚 이진탐색 > 정렬되어 있는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 > 이진탐색은 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한다 단계마다 탐색 범위를 2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기때문에 연산 횟수는 log2N에 비례한다 이진 탐색은 탐색 범위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행 시간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이미 계산도니 결과(작은 문제)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여 다시 게산하지 않도록 합니다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탑다운과 보텀업)으로 구성됩니다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