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코드스테이츠의 마지막 4주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팀장이자 풀스택 포지션을 맡아 진행을하게 되었다. 🙋 서비스 소개 가 있습니다.루트 노드(최상위 노드)는 0개 이상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자식 노드는 루트 노드와 마찬가지로 자손 노드를 가질 수 있고 계속해서 반복 정의됩니
오늘은 TypeScript로 express 환경설정을 해보았다.TypeScript는 평소에 많이 들었지만 한번도 사용을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를 통해 직접 환경설정을 해보고 TypeScript를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우선 typescript를 globa
오늘은 prototype chain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prototype은 콘솔에서 많이 봐왔지만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지 못했지만 이제는 적어도 prototype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게 되었다. prototype? JavaScript에는 class라는 개념이
OOP란? Object-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언어의 속성이 아닌 그냥 언어의 방법론이다. 객체 지향의 장점은 생산성이 높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라
그래프는 노드(혹은 vertex)와 그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서 무방향(undirected)일 수 있다. 즉 간선(edge)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노드가 대칭 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방향성을 가질 수 도 있다는 의미 인데. 이는
키와 값 쌍을 저장하고 있는 자료구조로 Hash Table은 키를 정할 때 메모리 공간을 덜 차지하기 위해 hash function을 이용해 특정 숫자의 값을 인덱스로 변환하여 사용하는데 이 과정을 해싱이라고 한다.하지만 이 과정에서 키의 값은 다르더라고 해싱을 통해
연결 리스트는 노드의 연결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각각의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 서로를 연결한다.노드는 크기가 동적인 자료구조로, 자료구조를 구성하는 요소이다.addToTail(value) - 주어진 값을 연결 리스트의 끝에 추가한다.remove
Stack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구조를 넣고 뺄 수 있는 LIFO(Last IN First Out) 형식의 자료구조이다.즉, 가장 최근에 스택에 추가된 데이터를 가장 먼저 삭제하는 것을 말한다.size() -현재 this.top를 반환한다. 만약 this.top가 0보
런타임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이다. 쉽게 말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브라우저는 JavaScript의 대표적인 런타임이다. 이전에는 JavaScript 런타임은 브라우저 밖에 없었지만 node.js라는 새로운 런타임이 나
9월 7일을 시작으로 4주라는 시간이 훅 지나갔다. 처음 OT를 들을 때가 생각이난다. 승재님이 한 말중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이 코드스테이츠는 "코딩을 가르치지 않는다 코딩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라는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제는 저 말이 너무 와닿는다... 4
모든 함수 scope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특수한 식별자를 this라고 한다.excution context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다.Method를 호출하게 되면 this는 부모 Object를 가리키게 된다.위 예제에서의 increm
bind는 call,apply와 다르게 함수를 바로 실행시키지 않고 this의 값이 바인딩된 함수를 리턴한다.아래 예재를 보면 bind를 사용하면 함수는 실행이 되지 않았지만 boundFn을 실행시키면 원하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이렇게 bind를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