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그리고 이미 많은 기업에서 서비스를 파이썬으로 만들고 있다.
인터프리터 언어, 다이나믹 타이핑, 확장성
인터프리터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는 크게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언어로 나뉜다.
전체 프로그램을 한번에 읽어서 기계어로 번역하느냐/ 프로그램언어 한줄 한줄 읽어 기계어로 번역하느냐의 차이다.다이나믹 타이핑 :
파이썬은 다이나믹 타입 언어이다.
데이터 타입에 대해 잠깐 알아보자면,
컴퓨터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준인 테이터 타입(data Type)이 존재한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몇 비트를 쓸 것이냐, 어떤 연산을 할 수 있냐 정의되기 때문이다.
- Static typed language
변수의 타입을 프로그래머가 미리 지정하고 바꿀 수 없다.- Dynamically typed language
언어가 값을 보고 추정해서 언어 타입을 정하고, 값에 따라 타입이 바뀔 수 있다.파이썬은 다이나믹 타입 언어지만, 버젼 3.5부터 선택적으로 타입을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했다.
-> Mypy확장성 :
파이썬은 놀랍게도 C언어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때문에 다른 언어와 호환성이 높아 접착 언어(Glue language)라고도 불린다.
기계어에 가깝게 코드 작성해야 하는 하드웨어 프로그래밍에는 적랍하지 않다. -> C, C++이 많이 쓰인다.
모바일 프로그래밍은 아직 불가능하다. 애플과 구글에서 이미 모바일 프로그래밍으로 정해둔 언어가 있다. -> Swift, java 등..
웹 프론트 프로그래밍 불가능. -> HTML, CSS, Javascript
파이썬은 주로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에 쓰인다.